[서울파이낸스 이철기자] 국가적 사이버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청와대가 전면에 나서고, 국정원이 실무를 총괄하는 대응체계가 수립됐다.
정부는 '3·20 사이버테러', '6·25 사이버공격' 등 각종 사이버위협에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관계부처 합동으로 '국가 사이버안보 종합대책'을 마련해 시행한다고 4일 밝혔다.
우선 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 역할을 청와대가, 실무총괄은 국정원이, 미래부ㆍ국방부 등 관계 중앙행정기관이 소관분야를 각각 담당토록 하는 대응체계를 확립했다.
또한 청와대ㆍ국정원ㆍ미래부 등 대응기관이 사이버상황을 즉시 파악해 대처할 수 있도록 동시 상황전파 체계를 구축했으며, 중요 사고에 대해서 '민·관·군 합동대응팀'을 중심으로 상호협력 및 공조를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기관간 원활한 정보공유가 부족하다는 지적에 따라 국가차원의 '사이버위협정보 공유시스템'을 2014년까지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민간 부문과의 정보제공·협력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아울러 2017년까지 집적정보통신시설(IDC)·의료기관 등을 포함한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을 확대(209→400개)하고 국가기반시설에 대해 인터넷망과 분리ㆍ운영한다.
주요 민간기업에 대해서는 정보보호 관리체계(ISMS) 인증 대상을 확대(150→500개)하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보안취약점 점검 및 교육지원 등을 통해 보안수준을 높일 예정이다.
이를 위해 정보보호 전문가 양성사업 확대 및 영재교육원 설립 등 인력양성 프로그램을 추진, 2017년까지 사이버 전문인력 5000명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대책이 정보보호산업을 동반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고 판단, '정보보호산업 발전 대책'을 함께 마련했으며 조만간 '금융전산 보안강화 대책'(금융위)도 발표할 계획이다.
정부측은 "IT 선진국의 위상에 걸맞는 세계 최고 수준의 사이버 안전국가 건설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개인·기업·정부 모두가 정보보호 실천에 동참해 안전하고 편리한 사이버 세상이 실현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