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급랭'+대내외 악재…경기추락 본격화되나
부동산 '급랭'+대내외 악재…경기추락 본격화되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설업 외끌이 한계, 재정·소비절벽 직면… 4분기 '제로 성장' 우려
美 통상 압력에 정국불안 장기화…내년 성장률 '1%대 추락' 비관도

▲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이은선기자] 최근 2년 간 경제 성장률 수치를 '나홀로' 견인했던 건설 경기가 차갑게 식어가고 있다. 이미 3분기 지표부터 타격을 입었다. 다 소진해버린 재정 여력과 얼어붙은 소비심리로 4분기에는 '내수 절벽'에 따른 '제로 성장' 가능성이 커진 상황이다.

내년에는 회복되는가 했던 수출도 통상 압력에 직면하면서 낙관하기 만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올 4분기를 기점으로 우리 경기가 본격적으로 추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정국 혼돈 속에 경제 정책에 이대로 손을 놓고 있다면 내년에는 연간 성장률이 1%대로 추락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은 2일 2016년 3분기 국민소득 잠정치를 내고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0.6%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난 10월 발표된 속보치(0.7%)대비 0.1%p 떨어진 수치다.

3분기 성장률이 하향조정된 배경에는 예상보다 부진했던 건설투자와 삼성 갤럭시노트7 단종·현대기아차 파업 등의 수출 타격이 반영됐다. 김영태 한은 국민계정부장은 "분기 최종월인 9월 기초자료를 추가 입수한 결과 건설투자와 수출지표가 하향 수정됐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건설투자의 성장 기여도는 속보치대비 0.1%p 떨어진 0.5%p, 순수출의 성장기여도는 -0.3%p 수준에서 -0.8%p까지 악화됐다.

예상보다 견조한 수준으로 평가됐던 3분기 성장률이 하향되면서 올해는 물론 내년 경기 부진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속성이 우려됐던 건설 경기가 이미 빠르게 위축되고 있고, 소비진작책이나 정부지출의 효과도 절벽에 부딪혔다.

실제로 건설투자는 올 1분기 1.0%p, 2분기와 3분기에는 각각 0.5%p의 성장세를 견인했다. 해당 분기 성장률이 0.5%, 0.8%, 0.6%에 그쳤다는 점을 감안할 때 엄청난 영향이다. 그러나 11월 들어 건설경기는 올 1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얼어붙었다.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 등으로 이전과 같은 부동산 활황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오정근 건국대 특임교수는 "건설시장이 급격히 냉각기에 들어갔고, 재정은 다 소진된 만큼 4분기 경제가 제로 성장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며 "경기가 이미 꺾이는 추세에 진입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글로벌 보호무역주의가 되살아난 가운데 수출 회복 기대도 어려워졌다. 미국 차기 대통령으로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당선된 가운데 최순실 국정농단에서 시작된 정국 불안으로 기업의 투자와 소비심리 마저 얼어붙었다.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분석실장은 "올해 성장을 견인했던 요인들이 불안하고 내년 회복을 기대했던 수출이 글로벌 경기 부진에 직면하고, 정국 리스크에 일부 기업도 부분적으로 연루 되면서 내년 사업계획을 공격적으로 세우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더 "최근 정치 불안이 소비와 투자심리에 악영향을 미쳐 내수와 함께 성장률을 떨어뜨리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언급했다.

대내외 불안 요인이 커지면서 정책적인 대응이 시급히 이뤄지지 않으면 내년 성장률은 2%대도 달성하기 어렵다는 위기감이 커지고고 있다. 장 실장은 "정국 불안의 향방과 트럼프 노믹스의 전개 상황에 따라 자칫하면 내년에는 1%대 성장률로 추락할 가능성도 배제하기는 어렵다"며 "경제 뿐만 아니라 정치도 세계적으로 뉴노멀 환경에 직면한 만큼 변화된 경제 환경에 맞춘 새로운 정책 대응이 이뤄져야 한다"고 경고했다. 수출 대기업 중심의 정책 지원을 내수와 중소기업, 가계로 옮겨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의 국정 불안과 내년 대선으로 국정공백이 생기더라도 경제정책에 있어서 만큼은 독립적인 추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높다. 오 교수도 "가계는 부채부담으로 소비를 못하고, 기업들은 투자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며 "그나마 회복을 기대하던 미국 수출이 통상 압력에 직면한 마당에 내년 성장률은 2% 달성도 어려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그는 "여야 합의를 통해 경제 문제에 있어서 만큼은 부총리에게 전권을 주고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공직자들도 지금의 정권에서 경제를 위해 일하는 것에 대해 책임을 묻지 않겠다는 입장을 보여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