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硏, 올해 성장률 2.8%로 조정…반년 만에 0.3%P 상향
금융硏, 올해 성장률 2.8%로 조정…반년 만에 0.3%P 상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성장률 예상치와 동일…수출+설비·건설투자 기대

[서울파이낸스 이은선기자] 한국금융연구원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8%로 0.3%p 상향했다. 최근 잇따라 상향 조정에 나선 주요 기관 중 가장 높은 수치다. IT 중심의 수출·설비투자 회복과 함께 당초 예상보다 높아진 건설투자 성장세를 바탕으로 지난해 수준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란 관측이다.

금융연구원은 30일 "우리나라 경제는 수출 및 설비투자 증가에 힘입어 올해 2.8%의 성장률을 보일 전망"이라며 "세계 경제의 회복이 점차 이뤄지면서 수출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IT 업종을 중심으로 설비투자도 개선돼 당초 전망보다 다소 높은 성장이 기대된다"고 발표했다. 금융연구원은 지난해 10월 성장률 전망치를 2.5% 수준에서 제시한 바 있다. 반년 만에 전망치를 0.3%p 상향한 것이다.

이는 지난해 실적치(2.8%)와 동일한 수준이다. 이달 들어 성장 전망 상향 조정에 나선 주요 기관에 비해서도 가장 높다. 한국은행은 이달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보다 0.1%p 높인 2.6%로 상향했고, 한국개발연구원(KDI)도 2.4%에서 2.6%로 0.2%p 높였다. 국제통화기금(IMF)의 경우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보다 0.1%p 높인 2.7%로 수정한 바 있다.

▲ 자료=한국금융연구원

올해 통관기준 수출은 11.4%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도체 수출 확대와 수출가격 반등의 영향으로 5517억달러 가량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다. 통관 기준 수입 역시 수출 및 투자 확대와 수입가격 반등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16.3% 증가한 4723억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올해 설비투자 증가율을 8.2%로 제시해 전년(-2.3%)대비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상반기 설비투자 부진에 따른 기저효과에 더해 글로벌 경기 회복 효과로 ICT 업종을 중심의 투자 확대가 예상됐다. 다만,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이외의 업종에서는 설비투자 확대를 제약할 가능성도 상존한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건설투자증가율의 경우 전년(10.7)보다는 위축된 5.7% 수준으로 전망했다. 지난 2015~2016년 급증한 아파트 분양 및 주택착공의 영향으로 건물건설 중심의 견조한 증가세가 유지될 것이란 관측이다. 다만, 올해 아파트 분양 물량이 전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도 오는 2020년까지 연평균 6% 감축하도록 재정 운용이 짜여있어 하반기에는 상승폭이 점차 둔화될 것으로 관측됐다.

우호적인 대외 환경에도 민간소비 증가율은 전년(2.5%)보다 크게 낮아진 1.9%에 머물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해 3분기까지 시행된 내수 활성화 정책으로 내구재 중심의 소비가 확대된 점이 올해 민간소비에는 증가 제약 요인으료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또 세계경제 회복이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더라도 GDP 증가가 가계소득 증가로 원활하게 이어지지 않는 최근 흐름 때문에 소비 증가는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됐다.

실업률도 지난해보다 0.1%p 높아진 2.8%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경기 개선으로 취업 기대감이 높아지면서 비경제활동인구의 구직활동이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다. 취업자수는 내수 부진으로 인력 수요가 크지 않겠으나, 정부의 보건 및 사회복지 관련 지출 확대로 전년과 동일한 30만명 가량을 기록할 것으로 봤다.

올해 연평균 원·달러 환율 전망치는 전년과 비슷한 1164원 수준으로 책정했다.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는 반면, 트럼프 행정부의 공약 실행 지연 가능성과 통상 압력, 수출 호조 등이 상홰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소폭 상승의 그칠 것으로 봤다. 향후 변동성 요인으로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 브렉시트를 비롯한 유럽의 정치 일정, 중국 등 신흥국으로부터의 자본유출 동향, 한반도 정세 변화 등을 꼽았다.

금융연구원 측은 "글로벌 경기 개선 흐름이 이어진다면 향후 수년 간 우호적인 대외 경제여건이 조성돼 구조개혁을 추진하더라도 고통을 어느 정도 흡수할 여력이 생기는 만큼 이 시기를 우리 경제의 틀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정책기관의 역할에 대해서는 "통화정책은 금리 인상 속도를 완만하게 조절하돼 정책방향에 대한 분명한 신호를 줘 경제 주체들에게 대비할 시간을 줘야하고, 재정정책은 중기적 시계에서 잠재성장률을 높이고 경제 불균형을 완화하도록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