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입주물량 43만9611가구…전년比 14.5% ↑
커지는 불안감…'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가입 늘어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 결혼하고 5년 만에 내 집 마련에 성공한 최 모(39·남)씨는 최근 걱정이 가득하다. 전세금으로 아파트 잔금을 치러야 하는데, 현재 살고 있는 전셋집 주인이 새로운 세입자가 들어올 때까지 기다려달라고 하고 있어서다. 이러다 계획에 차질이 생길까 염려하던 최 씨는 가능한 대출이 있는지 알아보고 있다.
정부의 잇단 규제, 쏟아지는 입주물량의 여파로 '깡통전세' 우려가 커지면서 전세세입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입주물량이 많아지면 집값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자칫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커지는 리스크에 인기가 시들하던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보험 가입자도 부쩍 늘었다.
22일 부동산114 등 업계에 따르면 올해 예정된 아파트 입주물량은 43만9611가구다. 이는 지난해(38만3820가구)보다 14.5%(5만5791가구) 늘어난 수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당장 내달에는 전국에서 새 아파트 4만여 가구가 입주를 시작한다. 수도권에서는 2만2109가구가 입주 예정인데, 경기 지역(1만5482가구)에 물량이 몰렸다. 지방은 2만2241가구가 집들이를 시작한다.
부동산 호황기였던 2~3년 전 분양된 물량이 본격적으로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이처럼 입주물량이 집중된 지역에선 세입자 우위 시장이 형성되면서 역전세난이 발생할 공산이 크다는 점이다. 서울 지역은 재건축 이주수요와 학군 수요로 물량 해소가 가능하지만, 공급 과잉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경기도와 지방 지역은 상황이 좋지 않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실제 한국감정원의 조사를 살펴보면 지난 15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06% 상승한 반면, 수도권과 지방은 각각 0.05%, 0.03% 하락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수요보다 신규 입주물량이 많은 지역들은 장기간 전세매물이 누적되면서 인근 지역까지 전셋값이 약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상황이 이렇자 그간 관심이 시들했던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가입자도 급증하고 있다. 반환 보증이란 전세계약이 종료될 때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돌려줘야 하는 전세보증금의 반환을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책임지는 보증상품이다.
HUG 통계에 의하면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반환보증 가입건수는 4만3918건, 보증금액은 9조493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6년(2만4460건·5조1716억원)에 비해 1.8배 증가한 규모다.
2013년 9월 첫 출시 이후 가입건수가 2014년 5884건, 2015년 3941건 수준에 그쳤으나 지난 2016년 2만4460건으로 크게 늘었다.
전문가들은 올해도 전세보증금 반환 보증 가입자가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내달부터 보증상품 가입 시 집주인의 동의를 구하지 않아도 되는 데다, 올해 전세시장에 과잉공급, 대출규제 강화 등 하락 요인이 가득하기 때문이다.
HUG 관계자는 "반환보증을 활용하면 깡통전세 불안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집주인이 보증상품 가입을 꺼려하는 경우가 있어 그동안은 가입이 어려웠지만, 2월부터 집주인 동의절차가 폐지되고 보증금 한도와 할인폭이 커짐에 따라 향후 가입자 수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