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서울 주택가격 상승률 1% 내외…급랭할 수도"
"내년 서울 주택가격 상승률 1% 내외…급랭할 수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금융경영硏 "수급불일치로 강보합"
"주택담보대출 성장세 상당 기간 제약"
사진=서울파이낸스DB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내년 서울 주택가격 상승률이 1% 내외로 안정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대내외 거시 충격이 있게 되면 부동산 시장이 급랭할 가능성도 동시에 제기됐다.

25일 우리금융경영연구소 경제연구실의 허문종 연구위원은 '9·13 대책 이후 서울 주택시장 동향 및 전망'이라는 보고서에서 "규제 강화, 거래 감소 등으로 내년 서울 주택시장은 안정되겠으나 대기 수요와 공급 부족으로 하락 전환하기보다는 1% 내외의 강보합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허 연구위원은 통상적으로 부동산 시장이 정책에 후행적으로 반응하는 점을 고려할 때 2015년 9월 주거안정대책부터 시작된 정부의 주택시장 규제는 시차를 두고 서울 주택시장을 안정시킬 것이라며 특히 이번 9·13 대책은 과거 강도가 가장 높았던 참여정부 당시보다 전방위적이고 촘촘하게 짜여 있다고 지적했다.

허 연구위원은 그럼에도 주택가격이 하락세로 전환하기보다는 강보합세의 움직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 근거로 수요와 공급 간 불일치를 지목했다.

허 연구위원은 수요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기반이 견조하다고 평가했다. 올 3분기 기준 단기유동자금이 1천105조원으로 명목 국내총생산(GDP)의 63.2%에 달한 점을 그 근거로 들었다. 또 고소득층의 소득 증가율이 다른 계층에 비해 월등히 높고, 대기수요가 상당한 점도 추가 매수 여력을 뒷받침할 요인으로 지목했다.

지난달 진행된 서울 서초 '래미안 리더스원' 분양의 경쟁률이 42대 1을 기록한 점이 그 방증이라는 것이다.래미안 리더스원은 건설사 보증 중도금 대출이 되지 않아 청약에 최소 10억원 이상의 현금이 필요했지만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것은 그만큼 시중 유동성이 풍부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허 연구윈원은 그러면서 서울 주택시장의 수요를 억제하는 요인으로 정부의 부동산 규제, 매매-전세가 갭의 확대, 전반적인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꼽았다.

특히 허 연구위원은 "현재로서는 가능성이 낮지만 참여정부 당시처럼 규제 강화 이후 대내외 거시적인 충격이 더해질 경우 주택시장의 분위기가 급랭할 수 있어 예의주시가 필요하다"고 단서를 달았다.

허 연구위원은 공급 측면에서는 수도권에서 주택 공급은 늘어나지만 서울 선호지역의 아파트 공급 증가는 제한적이어서 '실질적인 공급 부족' 상태가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국토연구원이 추정한 2018∼2022년 서울의 연평균 신규 주택 수요는 5만5천호, 국토교통부가 추정한 연평균 공급물량은 7만2천호로, 수치상으로는 공급이 충분하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2014∼2018년 서울의 전체 주택 준공물량 중 아파트의 비중이 연평균 40.6%로 서울을 제외한 지방의 57.5%보다 크게 낮다는 것이다.

또 2018∼2022년 연평균 신규 수요 가운데 아파트 수요가 4만호에 달하지만 신규 공급은 3만6천호에 그쳐 연평균 4천호 정도가 부족한 것으로 지적됐다.

허 연구위원은 "서울 주택가격의 급등 현상은 전체 주택보다 아파트, 특히 신축 아파트의 공급 부족에 기인했다는 점에서 정부의 3기 신도시 대책이 서울 선호지역에 대한 접근성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효과가 반감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허 연구위원은 "금융회사의 관점에서는 향후 서울 주택시장의 거래량 축소, 대출규제 강화 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의 성장세가 상당 기간 제약을 받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