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전통적인 제조 중소·중견기업이 선제적으로 사업을 재편할 수 있도록 정부가 3년간 최대 12조원 규모의 정책 자금을 공급한다.
또 관광·헬스케어·콘텐츠·물류 등 4대 분야를 중심으로 서비스 산업 혁신을 위한 마중물로 정책금융기관이 60조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17만명 수준의 고용창출을 이뤄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금융위원회는 21일 '혁신금융 추진방향'을 통해 주력산업에 대한 산업구조 고도화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먼저 '기업활력법' 승인기업 등 주력산업 분야의 중소·중견기업의 사업 재편 과정에서 필요한 설비증설·운영, 인수합병(M&A), 신사업 진출에 필요한 연구·개발(R&D) 등에 우선 자금을 공급하기로 했다.
또 사업 전환과 과잉 공급 해소 등을 위한 신시장 진출 등 일반기업의 사업 재편 노력도 뒷받침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업은행이 예비중견·중견기업에 7조원, 기업은행이 중소기업에 3조원을 3년간 초장기자금(최대 15년) 형대로 공급한다. 자금 소진 추이에 따라 최대 2조5000억원을 더 공급할 방침이다.
정부 R&D 자금지원기업과 상생투자 연계 지원도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정부 R&D 자금지원기업이 시제품제작-양산 등 사업회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1조원 규모의 별도 특별자금을 배정한다.
채권중심으로 이뤄지는 현행 구조조정 형태를 경영정상화를 통해 자본시장에서 투자자금을 회수하는 형태로 패러다임을 전한할 수 있는 방안도 내놨다.
기업구조혁신펀드 운용방식을 바꿔 부실기업을 회생시킬 때 재무구조 개선 대신 전문경영인 영입, M&A, 사업양수도 등 사업재편·경영개선 등을 통해 효과적인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정책금융기관 보증 연계나 민간 사모펀드(PEF) 공동투자, P-플랜 활용 등 구조조정 방식을 다양화해 기업 특성에 맞는 지원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과정에서 시장수요와 정책금융 여력을 봐가며 펀드 운용 규모를 현행 1조원에서 단계적으로 5조원까지 확대한다는 계획도 함께 내놨다.
이와 함께 유망 서비스 산업에 산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 기금 등 정책금융기관이 선도해 5년간 60조원의 자금을 공급한다. 관광·헬스케어·콘텐츠·물류 등 4대 유망서비스산업을 우선 지원하면서 추후 업종별 서비스 산업 혁신방안 등과 연계해 자금 공급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관광·물류 등 전통 서비스 산업이 빅데이터·정보통신기술(ICT) 등 신기술과 연계해 고도화가 촉진될 수 있도록 집중지원할 방침이다. 일별 배송정보를 축적한 뒤 소비자의 물류서비스 이용 패턴을 분석해 실시간 교통상황·지리정보 등 ICT기술과 결합해 최적 배송 경로를 도출하는 식이다.
헬스케어, 여가활동 수요 확대 등 새로운 소비트렌드에 대응한 신서비스 분야의 활성화도 유도한다. 정부는 이 같은 선제적 산업혁신 지원을 통해 산업재편·R&D자금 지원으로 2000여개 기업에서 신규 일자리 4만 개, 서비스산업 혁신 지원을 통해 6만8000개 기업에서 신규일자리 13만 개 등 총 17만 개의 일자리를 만들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