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파이낸스 윤은식 기자] "무엇보다도 수익성 개선에 힘써야 하겠습니다. 수익성이 구조적으로 개선되는 시점까지 '비상경영'을 해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2018년 당시 김종갑 한국지멘스 전 회장이 제20대 한국전력공사 사장으로 취임하면서 밝힌 한전의 경영전략은 '수익성 제고'였다.
김 사장은 지난 2007년 공직생활을 마친 후 하이닉스 반도체 사장을 맡아 성공적인 구조조정과 연구개발 투자를 진두지휘하며 경영능력을 인정받았다. 그 공으로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에너지 신산업 정책에 호흡을 맞춰 한전을 정상궤도에 올려놓을 것으로 정부와 업계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었다.
2016년 1분기만 해도 영업이익 3조6053억원을 기록하며 사상최대를 실적을 기록했던 한전은 문재인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으로 원전 이용률 감소 등으로 줄 곳 실적이 내리막길을 걷다가 지난해 2008년 영업손실 2조7981억원 이후 최대인 영업손실 1조3566억원을 기록했다.
한전은 2011~2012년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고 적자폭도 전년대비 1조1468억원 늘었다. 지난해 매출액도 전년보다 1조5348억원 감소한 59조928억원, 당기순손실은 1조500억원 늘어난 2조2245억원을 기록했다. 자연스레 김 사장의 경영능력도 도마 위에 오른 상황이다.
한전은 한파와 폭염일수가 줄어 냉난방 수요가 감소했고 2018년 평창올림픽 개최 기저효과 작용,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을 위한 노후발전소 가동중지, 겨울철 상한제약 확대 등이 영업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쳤다고 설명했다.
김 사장은 한전의 수익성 회복으로 전기료 인상 카드를 밀어붙일 것으로 업계는 관측하고 있다. 한전은 지난해 누진제 개편으로 전기요금체계 개편 논의에 착수한 상황이다. 올해 상반기까지 정부와 협의를 통해 요금 개편방안을 확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진다.
개편안에는 필수사용량 보장공제 개선과 주택용 계절별·시간별 요금제 도입 등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필수사용량 보장공제는 전기 사용량이 월 200킬로와트시(kWh)이하 저소비층에 월 4000원 한도로 요금을 감면해주는 제도다. 2억원대 연봉을 받은 김 사장으로 이 제도 혜택을 받는다. 관사에 홀로 산다는 이유다.
통신요금처럼 소비자가 스스로 전기 사용 패턴을 고려해 요금제를 고를 수 있는 선택적 전기요금제도 만들 예정이다. 전기요금의 사용자 부담원칙을 세워 현재 원가 이하인 전력요금체계를 현실에 맞게 재편한다는 구상이다. 전기요금이 올라갈 수 밖에 없는 구조다.
하지만 정부의 전기료 인상에 대한 태도가 미온적인 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새 전기요금 체계를 마련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김 사장은 '콩(원료)보다 두부(전기)가 더 싸다'며 전기요금 체계 개편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그러나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적절치 않다"고 선을 그으며 사실상 김 사장의 전기요금 인상 요구를 묵살했다. 또 코로나19로 각종 경제 지표가 나빠지는 상황에서 전기요금 인상을 꺼내 들었다가 오히려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
이에 1년 남짓 남은 임기동안 김 사장이 한전 경영 정상화를 위한 카드로 꺼내든 전기요금 체계 개편 전략을 어떻게 펴 나갈지 업계 이목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