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신한·우리銀 업무협약···他은행 '검토중'
정책성 상품 수수료 낮아···수익성 기대 '요원'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정부가 올해 4만5000호에 달하는 매입임대주택 공급을 예고한 가운데 은행권이 전용 부동산컨설팅, 신탁업 등 매입임대주택 관련 사업 참여를 두고 주판알을 튕기고 있다.
고객 토지를 활용해 다양한 사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란 전망과 정부에서 진행하는 공공사업인 만큼 수익이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동시에 나오고 있어서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신한·우리은행에 이어 같은 계열사 내 신탁사를 보유한 다른 시중은행들과도 '민간건설주택 매입약정 사업' 협약 체결을 검토하고 있다. 신한금융과 우리금융을 제외하고 주요 금융그룹 중 신탁사를 보유한 곳은 KB금융과 하나금융이다.
LH 관계자는 "협약을 맺은 두 은행 외 지주그룹 내 신탁사를 보유한 다른 은행은 KB랑 하나은행 정도가 있는데, 이들 은행을 대상으로 협약을 검토 중"이라며 "아직까지 구체적인 협의가 이뤄지거나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민간건설주택 매입약정 사업은 LH가 민간사업자의 건축 예정 또는 건축중인 주택에 대해 매입약정을 체결한 뒤, 준공 후 매입해 공공임대주택으로 활용하는 사업이다. 임대주택 공급 물량을 확대해 청년, 신혼부부 등 취약계층의 주거 안정을 도모하려는 목적이다.
앞서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지난 8일 LH와 민간건설주택 매입약정 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두 은행은 부동산 매각 의사가 있는 고객을 민간사업자와 연결해 임대주택을 개발하는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고객에게 부동산 투자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부가사업도 계획하고 있다.
또 매입약정을 체결한 건물을 준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자금을 대출해주는, PF(프로젝트파이낸싱) 투자까지도 가능할 전망이다. 특히, 정부가 지난 7일 전세난 해결을 위해 올해 4만5000호 규모의 매입임대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관련 사업 규모도 확대될 것으로 관측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아파트처럼 대규모는 아니어도 소규모 PF가 건건이 들어갈 가능성이 높다"며 "건물은 어차피 LH가 매입할테니 대출 회수나 이런 면에서도 안정성이 높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고객이 부동산을 매각하게 되면 일시적으로 현금이 들어올테니까 그 자산을 다른 금융상품에 투자하도록 컨설팅을 해준다든가 하면서 파생되는 다른 사업 기회를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해당 사업이 장밋빛인 것만은 아니라는 시각도 은행권에서 나온다. 정부가 진행하는 공공사업인 만큼 수익성보단 공익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이다. 현재 LH와 은행들 간 구체적인 사업 계획안이 마련된 것은 아니지만 기존의 정책성 상품과 마찬가지로 취급수수료가 크지 않을 것이란 게 은행권 중론이다.
한 은행 관계자는 "정책성 주택담보대출 중 하나인 A상품은 1건 거래할 때마다 은행에 일괄적으로 15만원이 떨어지는데, 정책성 대출을 취급하려면 확인해야 할 자료도 많고 투입되는 인력도 많아서 영업점에서 사실 반기는 상품은 아니다"라며 "매입임대 사업도 정부에서 하는 공익사업이니까 대출을 한다면 금리가 높지 않을텐데 당연히 은행에 떨어지는 중개수수료나 취급수수료도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현재로서는 해당 사업의 흥행 여부도 가늠하기 어렵다. 완공 후 LH에 매각한 건물에 하자가 있을 경우의 책임소재 등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도 부담 요인이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지금으로선 양질의 주택이 공급된다는 보장이 없다는 게 문제"라며 "실제 사람들이 얼마나 찾을지, 수수료나 주택가격은 어떻게 될지 등도 나와 있는 결과가 없어서 염려스러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