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문난 잔치'로 끝난 배터리 데이···"국내 업계 불확실성 해소"

2020-09-23     박시형 기자
일런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테슬라의 배터리데이가 국내 배터리 업체들의 불확실성을 해소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이란 의미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22일 열린 배터리데이 행사에서 제조공정 고도화를 통해 향후 3년동안 배터리 원가를 56% 낮추고 2022년까지 100GWh(기가와트시), 2030년까지 3TWh(테라와트시) 규모의 생산 설비를 구출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 외에도 최근 출원한 특허를 활용한 에너지 밀도 상향, 코팅·건조공정 단축, 하이니켈 양극재 채용 확대 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하지만 이번 배터리데이에 전세계 주주와 관련 업계가 주목했던 이유인 배터리수명이 기존 배터리보다 2~3배 긴 '100만마일(160만㎞) 배터리'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전문가들은 "서프라이즈는 없었다"라는 평과 함께 "국내 배터리 산업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황성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배터리데이는 테슬라의 장기 비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으나 단기적으로는 국내 업체들에게 불확실성으로 작용하던 이벤트의 소멸로 해석할 수 있다"고 말했다.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는 전날 트위터를 통해 "2022년까지 배터리를 대량생산하기는 어렵다"며 "파나소닉과 LG화학, CATL 등 다른 파트너사에서 배터리 구입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배터리데이 핵심은 국내 배터리 업체의 중장기 경쟁력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느냐에 대한 부분"이라며 "LG화학의 로드맵과 크게 다르지 않고 테슬라도 2022년 이후에야 신기술들이 안정된 생산능력을 확보하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다"고 말했다.

실제로 리튬인산철(LFP)과 건식전극을 활용한 배터리의 경쟁력에 대해서는 LG화학도 고객 대상 샘플 테스트를 준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해당 기술은 테슬라가 1년 정도 앞서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2022년부터는 동일 선상에서 경쟁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테슬라도 에너지 밀도 향상, 원가절감을 위한 공정 최적화 등을 두고 국내외 업체들과 경쟁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일론 머스크도 "가장 큰 고민은 정말 저렴한 차량이 없다는 것"이라며 "이를 위해 배터리 가격을 낮춰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주 연구원은 "보급형·프리미엄 전기차에 탑재될 배터리를 두고 CATL,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파나소닉과 경쟁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충전속도 10분대 진입과 에너지밀도 700Wh/L 이상 달성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