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 12.7조 '31%↓'···DLF 사태 영향

"일부 기초자산 DLS 시장서 리스크 우려···세부 감독·모니터링 강화"

2021-02-10     남궁영진 기자
자료=금융감독원

[서울파이낸스 남궁영진 기자] 지난해 DLS(기타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DLS는 ELS(주가연계증권)의 기초자산인 주식‧주가지수 외 신용, 펀드, 금리 등 다양한 자산을 기초로 발행하는 원금비(非)보장형 파생결합증권이다. 

1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최근 DLS 시장동향 및 향후 대응방향'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현재 DLS 발행잔액은 약 12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6월말(18조4000억원) 대비 31.0%(5조7000억원) 감소한 수준이다. 이로써 DLS는 전체 파생결합증권 시장(107조6000억원)에서 약 12% 비중을 차지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 2005년 도입된 DLS는 한때 17~18조원 시장으로 성장했지만, 2019년 해외금리 기초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등으로 DLS 시장의 위험요인이 부각되면서 시장 규모가 크게 축소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초자산별로는 신용(4조4000억원, 34.3%), ETF(2조5000억원, 19.6%), 펀드(2조4000억원, 19.0%), 금리(2조2000억원, 17.2%), 원자재(1조3000억원, 9.9%) 등 순이었다. 이중 ETF가 전년 동기보다 1조5000억원 감소했고, 신용(-1조3000억원, 금리(-1조원) 등도 크게 줄었다. 

신용을 기초로 한 DLS는 전년보다 23.6%(1조3000억원) 감소한 4조4000억원으로, 전체 DLS의 34.3%를 차지했다. 국가, 공공금융기관, 대기업 등의 신용위험을 기초로 발행한 DLS로서 파산, 지급불능, 채무재조정 등 신용사건 발생시 원금손실이 나타난다. 

금감원 관계자는 "발행량이 급감한 다른 기초자산과 달리 최근까지 꾸준히 발행‧판매가 이뤄지고 있다"며 "기초자산인 기업 등이 부실화될 경우 투자자의 원금손실이 발생하지만, 주로 국가‧공공기관‧대기업 등 신용도가 높은 대상을 기초로 발행되고 있어 대규모 원금손실 가능성은 낮다"고 했다.

ETF(주식) 기초 DLS는 2조5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보다 36.9%(1조5000억원) 감소하면서 전체 DLS중 19.6% 비중을 점했다. 기초자산이 대부분 iShares ETF(FTSE China 50지수 추종, NYSE 상장) 등과 주가지수가 혼합된 형태이며, 수익구조는 ELS와 사실상 동일하다.

글로벌 주가지수, ETF 등 급락시 원금 손실이 발생하지만, 잔액 대부분이 2022년 이후 만기가 도래하는 등 급격한 손실가능성 낮다. 은행 신탁 판매 중단 등으로 향후 신규발행도 크게 축소될 전망이다. 

해외 부동산과 매출채권, 신용장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국내외 펀드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DLS 잔액은 2조4000억원으로, 5000억원 줄었다. 전체 DLS 중 19.0%를 차지했다. 

기초자산인 역외펀드 등의 순자산가치, 원금 회수가능성 등이 투자자 원금 상환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독일 헤리티지, 젠투펀드 등 일부 펀드 기초 DLS 환매 중단 등으로 투자자 손실 위험이 확대되면서 신규 발행이 사실상 중단됐다. 

이외 금리 기초 DLS는 2조2000억원(1조원 감소)는 17.2% 비중을 점했다. 금리 변동성 확대시 투자자 손실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2019년 DLF 사태 이후 신규 발행‧판매는 대부분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이뤄지고 있어, 개인 투자자의 손실가능성은 낮은 상황이다. 

원자재 기초 DLS는 1조3000억원(1000억원 감소)는 9.9%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했다. 코로나19로 인해 기초자산인 유가 등이 급락해 조기상환 지연 및 원금 손실 가능성이 확대됐지만, 최근 유가 회복으로 원금 손실 가능성은 축소됐다. 

DLF 사태 후속조치에 따른 공모 발행 요건 강화 등으로 신규발행은 크게 축소될 것으로 금감원 측은 전망했다. 

금융당국은 최근 DLF 사태, ELS 마진콜 발생 등 파생결합증권 시장의 위험요인이 현실화되고 있어, 이에 대응한 규제 개선 등을 추진하고 있다. 2019년 12월 고위험 금융상품 투자자 보호 강화를 위한 종합개선방안(DLF대책)에 이어, 지난해 7월 파생결합증권시장 건전화 방안(ELS 마진콜 대책) 등을 발표한 바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DLS 시장 전반이 양적 성장이 제한되고 질적 내실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일부 기초자산 DLS를 중심으로 리스크 요인이 여전하다"며 "시장 전반에 대한 모니터링과 함께 대규모 환매중단 등 문제 발생 소지가 높은 펀드 기초 DLS에 대한 세부 감독강화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를 위해 환매연기 등이 발생한 펀드 기초 DLS를 중심으로 공모규제 회피 여부, 발행‧상품심사 업무실태 등 투자자보호 절차의 적정성을 집중 점검하고, 기초자산(역외펀드)에 대한 심사 및 사후관리 절차 강화 등을 통해 향후 발행사들의 부실 역외펀드를 기초로 하는 DLS 발행 유인을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도입‧시행될 파생결합증권 관련 규제들이 원활히 정착되도록 유도하고, 파생결합증권 시장 전반에 대한 모니터링 실시 및 증권회사 리스크 관리 역량 강화 등을 적극 지도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