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경제 전문가들 "금융시장 최대 리스크는 물가"
한은, 2022년 상반기 시스템리스크 서베이 결과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국내외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을 가장 위협할 요인으로 '물가상승압력'을 꼽았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2022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 80명 중 79.9%는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을 우리나라 금융시장 최대 리스크(위험) 요인으로 지목했다.
한은은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3일까지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금융·경제관련 협회 및 연구소 직원, 대학 교수,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 담당자 등 8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이번 조사를 진행했다. 주요 리스크는 전문가들이 꼽은 5대 위험요인 중 응답비중이 50%를 넘는 것으로, 5개 리스크 요인을 꼽는 질문에 대한 답을 단순 집계한 것이다.
물가에 이어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55.4%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43.8%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 41.2% △시장금리 급등 33.5%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21.9%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하반기 조사와 비교할 경우 당시 순위권 내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 △글로벌 자산 가격의 급격한 조정 등은 주요 리스크에서 제외됐다.
리스크 중에서는 물가상승압력(55.4%→79.9%)을 비롯해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41.9%→55.4%), 시장금리 급등(24.3%→33.5%) 응답률이 상승했다. 반대로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52.7%→43.8%)이 소폭 하락한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는 신규 리스크 요인으로 선정됐다.
전문가들이 가장 위협적인 리스크 요인으로 꼽은 것은 전체 응답 가운데 34.2%를 차지한 물가상승압력이었다. 이어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15.2%),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11.4%), 시장금리 급등(10.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대부분의 위협 요인들이 1년 이내 단기 충격을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물가상승압력,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시장금리 급등 등은 발생 가능성도 높고, 발생 시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도 클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반해 가계 부채는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은 크지만, 실제 금융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통화정책 완화 수준의 축소와 관련, 시장에 분명하고 일관된 신호를 전달하는 등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을 통해 물가 상승세를 억제하고 기대인플레이션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또 정책당국이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는 가운데 부동산 시장 안정화 정책 및 실수요자 중심의 지원을 내놔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기관 자산건전성에 있어서는 코로나19 이후 금융여건이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취약차주 중심의 신용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금융기관은 충당금 적립, 자본확충 등을 통해 손실흡수 능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정책당국도 취약계층 중심의 선별적 지원, 우량기업 지원 프로그램 등 선제적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