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硏 "내년 경제성장률 1.8%로 둔화···기준금리 3.75%"
소비자물가 3.5% 전망···"추가 기준금리 인상 불가피"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고물가·고환율·고금리 악재의 파급효과가 본격화하면서 내년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이 1.8%로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8일 '2023년 경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2023년에는 고물가·고금리의 부정적인 파급효과가 확대되며 성장 둔화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경제성장률은 1.8%로 큰 폭 둔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민간소비는 서비스 소비 여력 및 해외여행 증가 등에 힘입어 회복세는 이어가겠지만 가계의 실질 구매력 감소, 부채부담 증가, 자산 가격 하락 등이 작용하면서 증가율이 2.2%(2022년 4.1% 추정)로 둔화될 것으로 봤다.
건설투자와 설비투자 증가율은 각각 올해 -1.6%, -4.3%(추정치)에서 내년 1.4%, -0.2%로 추정했다. 수출(통관 기준)의 경우 반도체를 비롯한 주력 수출품목들의 단가 하락,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등의 영향으로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전환(올해 8.5%→내년 -0.6%)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고물가 흐름(올해 5.3%→내년 3.5%)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정유탁 연구위원은 "2008년 이후 처음으로 고물가와 성장 부진이 동시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연구소는 내년에도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예상되는 최종 기준금리는 3.75%다. 다만 대내외 추가 금리인상이 상반기에 종료되고 글로벌 경기가 하강 국면을 나타내면서 시중금리는 점진적으로 하락하고 장단기 금리차 역전 현상이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구소는 또 원·달러 환율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 속에 내년 상반기 평균 1400원을 나타내다가 하반기 1340원 수준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오현희 연구위원은 "국내 수출 위축 및 서비스 적자 확대, 대외 불확실성 심화 등에 따른 외환시장의 변동성 위험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부동산 시장의 가격 하락세는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하서진 수석연구원은 "금융여건 악화 속에 과거와 달리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동조화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어 낙폭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