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지속가능항공유 급유한 여객기 뜬다···2027년부터 의무화 추진
정부, SAF 혼합유 확산 전략 발표···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배출 80%↓
[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앞으로 일부 국제선 여객기에 지속가능항공유(SAF) 혼합유가 급유된다. 정부는 SAF 혼합유를 활용한 상용 운항을 시작으로 오는 2027년부터 국내에서 출발하는 모든 국제선 항공편에 SAF 혼합유 사용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국내 정유사가 생산한 SAF를 기존 항공유에 혼합한 국제 노선 정기 운항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SAF는 동·식물에서 유래한 바이오매스 및 대기 중 포집된 탄소 등을 기반으로 생산돼 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배출량을 80%까지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연료다.
지난해 SAF 혼합유를 급유한 국내 화물기가 6차례 시범 운항한 바 있으나, 승객을 태운 여객기가 활용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대한항공의 인천발 일본 하네다행 노선 항공편을 시작으로 티웨이항공(인천∼구마모토), 아시아나항공(인천∼하네다), 이스타항공(인천∼간사이), 제주항공(인천∼후쿠오카), 진에어(인천∼기타큐슈)가 올해 4분기까지 순차적으로 SAF 혼합유 사용을 시작한다. 이들 항공사는 SAF가 1% 혼합된 연료를 주 1회 급유해 운항한다.
정부는 또 ICAO의 국제항공 탄소상쇄·감축제도(CORSIA)가 의무화되는 2027년부터 국내에서 출발하는 모든 국제선 항공편의 SAF 1% 혼합 급유 의무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작년 국적사 운송량을 기준으로 1% 혼합 급유가 의무화될 경우 연간 약 16만톤(t)의 탄소배출을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국토부는 보고 있다. 이는 국내 승용차 5만3000대가 1년간 배출하는 탄소량이다.
정부는 현재 SAF 시세가 기존 항공유의 2∼3배 수준인 만큼 SAF 혼합 급유 의무화가 항공 운임에 미칠 영향도 최소화할 방침이다. 운수권 배분 시 운임 인상 정도를 반영하는 것을 비롯해 항공사의 공항시설 사용료 인하, SAF 이용 승객에 대한 혜택 제공 등 다양한 방안을 구상 중이다.
아울러 정부는 SAF의 생산·공급·기술 개발 전 주기에 걸친 지원책도 마련한다. 이를 통해 세계 1위 항공유 수출국으로서 글로벌 SAF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산업부는 국내 기업의 SAF 생산공장 신설투자 등에 대한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투자가 확정될 경우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인허가 절차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뿐만 아니라 폐식용유 외 다양한 원료를 기반으로 SAF를 생산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 및 해외 바이오 자원 공동 조사에 나서고, 국내외 기업과 한국석유공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외 원료 확보·저장 기반시설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다.
정부 관계자는 "기후위기 대응과 항공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SAF 사용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면서 "글로벌 SAF 시장 선점을 위해 범부처 역량을 결집해 정책을 차질 없이 이행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