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가계대출 41조6000억↑···은행 주담대가 견인

전년比 31조5000억 확대···"경상성장률 내 관리" 12월 가계빚 2조↑'둔화세'···2금융 '풍선효과' 여전

2025-01-15     김현경 기자
서울

[서울파이낸스 김현경 기자] 지난해 전금융권 가계대출이 41조6000억원 늘어 전년(10조1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가계대출 증가를 견인한 것은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었다.

가계대출이 전년보다 확대됐지만 금융당국은 전반적으로 경상성장률 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15일 발표한 '2024년 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금융권 가계대출은 41조6000억원 증가해 전년(10조1000억원) 대비 31조5000억원 확대됐다.

금융권 가계대출은 코로나19 시기였던 지난 2020년 112조3000억원, 2021년엔 107조5000억원 늘었다가 2022년 8조8000억원 줄었고, 2023년엔 10조1000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가계대출이 전년보다는 확대됐지만, 2020~2021년 증가폭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이다.

지난해 전체 가계대출을 견인한 것은 주택담보대출로, 57조1000억원 늘어 전년 증가폭(+45조1000억원)보다 확대됐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15조5000억원 감소해 전년(-35조원) 대비 감소폭이 축소됐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46조2000억원 늘어 전년(37조1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고 제2금융권은 4조6000억원 줄어 감소폭이 전년(-27조원)보다 축소됐다.

특히, 은행권 주담대는 52조1000억원 늘어 전년(51조6000억원)과 유사한 수준으로 증가했다.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감소폭은 축소되는 추세다.

제2금융권의 경우 △여신전문금융회사(+3조2000억원) △저축은행(+1조5000억원) △보험(+5000억원)은 증가했고, 상호금융은 9조8000억원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수치만 보면 가계대출 증가세는 뚜렷하게 둔화하는 흐름이다. 12월 금융권 가계대출은 2조원 증가해 전월(+5조원) 대비 증가폭이 축소됐다.

지난해의 경우 대출금리 하락, 수도권 중심의 주택거래 증가 등으로 4월부터 가계대출이 급증하기 시작했고 8월엔 9조7000억원 규모까지 늘기도 했다. 그러다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시행, 금융권 자체 대출취급 제한 등으로 9월부터 증가세가 점차 둔화하는 흐름이다.

12월 가계대출 현황을 보면 주택담보대출이 3조4000억원 증가해 전월(+4조원)보다 증가폭이 축소됐고,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1조4000억원 줄어 전월(+1조원)에서 감소 전환했다.

다만, 은행권의 대출취급 제한으로 대출 수요가 제2금융권으로 쏠리는 '풍선효과'는 12월에도 여전했다. 12월 제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은 2조3000억원을 기록했는데, 전월보다는 증가폭(+3조2000억원)이 축소됐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 증가폭은 지난해 9월까지 -2000억원으로 안정적으로 관리되다 10월 +2조7000억원으로 급증한 후 비슷한 수준을 이어오고 있다.

제2금융 업권별로 보면 △상호금융권(+2조2000억원) △보험(+3000억원) △저축은행(+1000억원)은 증가했고 여전사는 3000억원 감소했다.

12월 은행권 가계대출은 4000억원 줄어 전월(+1조9000억원) 대비 감소로 전환했다. 주담대는 8000억원 증가, 전월(+1조5000억원)과 비교해 증가세가 둔화했다. 겨울 이사수요 감소, 금리인하 기대감에 따른 대출실행 이연 등의 영향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연간 가계부채가 경상성장률 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21년 98.7%, 2022년 97.3%, 2023년 93.6%로 둔화하다 지난해 3분기까지 90.8%를 기록했다.

금융위는 "올해에도 금융권이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자율적인 가계대출 관리기조를 유지하도록 유도하고 상환능력 심사 중심의 여신관리체계를 지속적으로 확립할 것"이라며 "연간 가계부채 증가율을 경상성장률 이내로 일관되게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