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지방소멸 대응 1000억대 기금 투입
3대 전략 임신·출산, 일자리 창출, 교육·사회서비스 향상 집중 추진
[서울파이낸스 (전주) 박종두 기자] 전북특별자치도는 인구감소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지역활력을 높이기 위해 인구감소(관심)지역에 투자하는 '2025년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에 총 1019억원을 투입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전북 내 인구감소 및 관심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도 기금 14개 사업에는 193억원, 시군 기금 50개 사업에는 826억원이 지원된다.
대상 지역은 정읍, 남원, 김제,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 고창, 부안 등 10개 인구감소 지역과 관심지역인 익산시이다.
2025년 도가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분야는 3개 전략 14개 사업이다.
3대 전략 분야는 △임신·출산 및 생활 인프라 구축을 통한 함께 살고 싶은 전북 조성 △ 일자리 창출 및 체류여건 조성으로 함게 일하고 머물고 싶은 전북 조성 △ 교육·사회서비스 수준 향상 및 지역활력 제고로 함께 행복한 전북 조성이다.
첫 번째는 임신·출산 및 생활인프라 구축이다. 도는 116억원을 투입해 공공산후조리원과 모아복합센터 건립을 추진해 도민의 지역 내 의료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도민들의 출산 환경을 개선할 계획이다.
두 번째는 일자리 창출 및 체류 여건 조성이다. 도는 43억원을 투입해 특장 전문인력양성 거점공간 조성, 농촌유학 가족체류형 거주시설 조성, 청년창업 스마트팜 패키지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역 청년들이 정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예정이다.
세 번째는 교육 및 사회 서비스 수준 향상이다. 34억원을 투입해 전북형 청년 마을 만들기 사업과 지역활력타운을 조성하는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 특히, 지역활력타운 사업은 3개시군(남원시, 김제시, 부안군) 기금과 연계해 은퇴자와 청년들이 정착할 수 있도록 주거지와 생활 인프라를 통합 지원하는 복합단지를 건설할 계획이다.
도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한 다양한 사업을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이끌어냈다. 지난 2022년부터 도입된 지방소멸대응기금은 현재 4098억원 규모로 확대됐으며, 사업이 4년 차에 접어들면서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대표적인 성과로는 '유아숲 체험원 사업(2022~2023년)'이 있다. 도내 인구감소지역 7개 시군에 조성된 유아숲 체험원은 어린이들이 자연을 체험하며 정서 발달을 돕고 있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청년창업 스마트팜 패키지 사업(2022~2025년)'은 농촌으로 이주한 청년농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청년농들의 지역 정착을 돕는 중요한 사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각 시군도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통해 특성에 맞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김제시는 '귀촌청년 로컬재생 복합문화 조성사업(2024~2025년)'을 통해 농촌 유휴 시설을 청년들의 문화 거점으로 탈바꿈시켰다. 이 사업은 2024년 인구감소 대응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며 주목받았다.
정읍시는 소아외래진료센터를 올해 상반기부터 운영 예정으로, 소아청소년과가 없어 인근 전주, 광주 등을 찾아가야 했던 서남권 지역민의 의료 접근성이 높아져 아동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는 보육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익산시는 '취업-주거-돌봄'으로 이루어지는 청년생애주기 맞춤형 지원사업을 통해 청년층의 정착을 도울 예정이다. 특히, 대규모 아파트 공급 시기에 맞춘 청년·신혼부부 익산형 주거사다리 구축 사업(2022~2025년)으로 청년층에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지난해 익산시 출생아 수가 57명 증가한 바 있다.
도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이 일회성 사업에 그치지 않도록 후속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워케이션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공공산후조리원 운영비 지원, 농촌유학 활성화 프로그램 확대 등 다양한 후속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도 관계자는 "인구 감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어렵지만, 발을 내딛어야 다음 걸음을 걸을 수 있는 만큼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해 인구 감소의 시간을 되돌리는 변화를 이끌어낼 것으로 기대하면서 2025년 사업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