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승희 칼럼] 대통령의 광복절 기념사
[홍승희 칼럼] 대통령의 광복절 기념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광복 74주년, 상해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어떤 기념사를 할 것인지에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가 관심을 기울였다. 특히 현재 경제전쟁 중인 일본의 관심은 매우 컸다.

일본 언론들은 문재인 대통령이 역사문제를 직접 거론하지 않았다는 데에 주로 초점을 맞추며 대화를 원한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런 일본 언론의 보도 태도는 마치 한국이 그동안 대화를 피해왔다는 뉘앙스를 풍기며 경제전쟁에서 한발 굽히고 들어가는 것처럼 보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문재인 대통령의 기념사에서는 아예 일본이 벌인 경제전쟁 그 이후를 말하고 있다는 것이 필자가 받은 인상이다. 물론 일본의 대화요구에는 언제든지 응할 것임을 명백히 밝혔지만 그렇다고 역사문제에서 물러나겠다는 의미도 아니어서 입장의 변화를 보였다는 식의 일본 언론 보도는 상당히 아전인수식 해석이라는 느낌이 강하다.

그보다는 기념사 곳곳에서 '책임있는 경제강국'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 등의 표현을 통해 일본이 벌여 시작된 경제전쟁에 대한 우회적 비판을 가하면서도 일본이 깔아놓은 판에서 허덕이는 대신 일본을 우리가 새로 까는 판 위로 끌어들이려는 목표를 드러냈다. 또한 한국이 동아시아의 평화, 나아가 세계 평화의 중요한 연결고리가 되고자 하는 비전을 보임으로써 과거 문제에서 한발도 벗어나지 못하는 일본을 향한 도덕적 우위를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

이제까지 우리가 당장의 먹고사는 문제에 허덕이느라 그리지 못했던 크고 넓은 그림을 보여줌으로써 당장 발등에 떨어진 불로 보이는 경제전쟁의 현상에 보다 의연하게 대처하겠다는 자신감을 과시한 것이다. 그 큰 그림의 첫 걸음은 분단극복이 곧 광복의 완성이며 평화경제를 실현하겠다는 다짐으로써 우리의 시선이 당장의 경제전쟁 그 너머를 바라보고 있음을 밝혔다.

물론 평화경제 구상은 당장 보수 야당들의 '현실성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고 당장의 한일 갈등에 대한 구체적 대안이 없다는 비난도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대통령의 연중 가장 중요한 대국민 메시지인 광복절 기념사에서 얼마나 세밀한 외교대책을 내놓아야 하는 것인지 의아하다.

일반 담화문도 아닌 광복절 기념사에서 코앞의 문제에만 연연하는 모습도 기이하지 않은가.

문 대통령의 기념사에서는 핵심 이슈들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그보다 사소한 예시에 그칠 수도 있는 몇 개 대목에 더 관심이 끌렸다. 후손들이 지역과 국경을 넘어 배우고 활동할 수 있는 나라의 꿈도 좋았지만 특히 '실패가 존중받을 수 있는 나라'의 비전은 필자가 우리 사회의 큰 결핍 중 하나로 느꼈던 부분이어서 관심 갖을 수밖에 없었다.

물론 이번 대통령 기념사에서 대표적으로 설정된 주제는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이겠다. 이는 그동안 주변 강국들 틈에서 기회를 봐오던 한국이 한 단계 입지를 높여야만 하는 현 단계, 그렇기에 일본의 강력한 견제로 인한 경제전쟁에 직면한 현재 상황에서 반드시 필요한 목표가 될 수밖에 없다.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평화경제 구상도 결국은 우리가 남들에 의해 휘둘리지 않기 위해 추구해야 할 정책이고 한일 경제전쟁으로 인한 피로감이 누적되기를 하이에나처럼 기다리는 주변 강국들과의 피곤한 외교 또한 놓치지 말아야 할 당면한 현안이다.

하지만 정치지도자는 코앞의 목표와 더불어 그 다음, 다음단계의 비전까지 함께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당장 먹고사는 것이 급급했던 단계를 벗어났으니 당연히 큰 그림을 그려야 하고 그 그림은 역대 정부가 조금씩 더 구체화시켜 나가야 하는 것이다.

보수 정권과 진보 정권 간의 정권 교체에도 불구하고 지속시켜 나가야 할 국가적 미래 비전, 나아가 민족적 비전이지만 불행하게도 우리는 철학적 결핍 탓인지 심한 단절을 겪어왔다. 물론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두 부정되지는 않았고 조금씩 변화, 발전은 있었지만 좀 더 나아갈 수 있었던 기회들이 공중으로 날아가 버린 부분들이 너무 컸다.

동아시아를 넘어 전 아시아 나아가 유럽까지를 잇는 큰 그림은 이미 과거 노무현 대통령 시절에도 희미하게나마 그리다 채 마무리하지 못했었다. 일단 당시 동몽골 개발부터 시작해 중앙아시아를 거쳐 터키까지 연결되는 T자 혹은 丁자 연대 구상이 시작됐지만 그 이후 정권들에 의해 대강은 지워진 채 단편적 장사만 이어졌다.

북방 아시아 전체를 잇는 구상은 구체화되더라도 국제적 역학관계 속에서 어느 면에서는 남북관계를 풀어가는 과정처럼 조심스러운 한걸음 한걸음을 떼어야 할지도 모르지만 그럼에도 꿈꿔야 할 미래가 아닐까. 그리고 이번 문대통령이 이 큰 그림의 철학이 제시됐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