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중국서 재생에너지로 공장 가동···韓기업 첫 사례
LG화학, 중국서 재생에너지로 공장 가동···韓기업 첫 사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PPA 방식'으로 전력 구매 계약···"90% 이상 탄소중립 실현"
LG화학의 중국 우시 양극재 공장 전경 (사진=LG화학)
LG화학의 중국 우시 양극재 공장 전경 (사진=LG화학)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LG화학은 중국 장쑤성(江蘇省) 우시(無錫) 양극재공장(LeyouNew Energy Materials)이 현지 풍력·태양광 전력판매사인 '윤풍신에너지'로부터 연간 140GWh 규모의 재생에너지를 수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140GWh는 약 3만 가구 이상이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규모로, 우시 양극재 공장에 필요한 모든 전력을 충당할 수 있는 양이다.

LG화학은 풍력·태양광 발전으로 생성된 친환경 전기를 중간 단계 없이 고정된 가격으로 전력을 수급받는 'PPA(Power Purchase Agreement, 전력 구매 계약) 방식으로 계약했다. 중국에 진출한 국내 기업 중에서 이를 적용하는 것은 LG화학이 처음이다.

REC(신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 구매, 자가발전 등 다른 재생에너지 공급 방식 대비 효율적인 비용으로 안정적 수급이 가능하며, 전세계 어디서나 탄소 감축 활동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범용성 또한 장점이다.

LG화학 우시 양극재 공장은 2021년부터는 재생에너지로만 공장을 가동해 일반 산업용 전력 대비 10만톤의 탄소 감축이 예상된다. 중국 내 탄소 배출 규제에도 선제적으로 대응해 기존 산업용전기를 사용할 때 보다 경제성도 갖추게 된다.

LG화학은 이번 우시 양극재 공장에 이어 내년까지 저장성(浙江省) 소재 전구체 공장도 PPA를 통한 재생에너지 전력으로 전환을 검토해, '전구체-양극재'로 이어지는 중국내 배터리 소재 분야에서 90% 이상 탄소중립을 실현할 계획이다.

LG화학 관계자는 "전구체와 양극재 생산 과정에서는 직접적인 탄소 발생이 거의 없어, 생산 등에 사용되는 전력만 재생에너지로 바꿔도 90% 이상의 탄소중립 실현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전구체는 양극재의 원료로 코발트, 니켈, 망간 등을 결합해서 제조한다. 전구체에 리튬을 결합하면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가 된다.

LG화학은 전기차 보급 확산 등 급속히 증가하는 배터리 소재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세계 1위 코발트 정련업체인 화유코발트와 합작해 저장성 취저우(衢州市)에 전구체 공장을, 장쑤성 우시에 양극재 공장을 각각 연간 4만톤 규모로 설립했으며, 올해 10월 말부터 본격 가동하고 있다.

LG화학 취저우·우시 공장에서 생산된 전구체와 양극재는 전량 자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의 난징(南京) 배터리 공장(소형·전기차·ESS용)과 유럽 폴란드 브로츠와프 배터리 공장(전기차용)에 공급되고 있다.

신학철 LG화학 부회장은 "이번 중국내 PPA 추진은 LG화학이 약속한 2050 탄소중립 성장을 실현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 중 하나"라며 "앞으로도 RE100 달성을 위해 국내외에서 재생에너지 확보에 적극 나서는 등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선도 기업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자리매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