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고용상황, 코로나19 이후 남성보다 여성 더 악화"
한은 "고용상황, 코로나19 이후 남성보다 여성 더 악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성일자리, 대면서비스업 비중 높아···육아부담 가중도 한 몫"
"'감염병 확산' 특성에서 기인···경력단절 막는 정책적 지원 필요"
14일 서울 성동구 희망일자리센터의 구인 게시판.
서울 시민들이 성동구 희망일자리센터의 구인 게시판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이번 코로나19 사태로 남성보다 여성의 고용 상황이 더욱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면서비스업 등 여성 비중이 높은 산업을 중심으로 취업자수가 크게 감소한 탓으로, 일반적인 경기침체기와 달리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에 따른 경기침체의 특성이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6일 한국은행은 'BOK 이슈노트 -코로나19와 여성고용'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성별 고용충격 패턴의 변화는 이번 코로나19 팬데믹에 의한 경기침체를 일반적인 경기침체와 구분할 수 있는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로 꼽힌다. 일반적인 경기침체기에는 남성고용이 더욱 큰 충격을 받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오삼일 한은 조사통계국 고용분석팀 차장은 "일반적으로 경기침체기에 남성고용의 충격이 더욱 크게 발생하는 상황을 '맨세션'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제조업·건설업 등 남성 취업자 비중이 높은 산업이 경기변화에 보다 민감하기 때문"이라면서 "또 경기침체로 남편이 일자리를 잃을 경우 '기혼여성이 대신 일을 구하는 행태(AWE)'가 많아 남성 고용 충격이 더욱 컸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코로나19 팬데믹은 달랐다. 지난해 2월부터 올해 3월까지 13개월 간의 취업자수 추이를 보면 남성 취업자수가 코로나19 이전 대비 최대 2.4% 감소에 그친 반면, 여성 취업자수는 최대 5.4%까지 감소했다. 또한 성별 고용충격의 격차는 방역대책 강도가 높게 시행되는 시기마다 더욱 강해졌다.

이는 여성취업자 가운데 비필수직·고대면접촉 일자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남성 일자리와 비교해 더욱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여성 취업자 비중은 △건설업(9%) △운수·창고·통신(16%) △제조업(29%) 등에선 낮은 수준을 보인 반면, △보건·사회복지(81%) △교육(67%) △숙박음식(63%) 등에서는 60%를 상회하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대면서비스업 등 여성고용 비중이 높은 산업을 중심으로 취업자수가 더욱 크게 줄어든 것이다.

경기침체시 산업별 취업자수 증감률. (사진= 한국은행)
경기침체시 산업별 취업자수 증감률. (사진= 한국은행)

코로나19 이후 육아부담이 늘어난 것도 여성취업자수 감소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육아는 남성보다 여성이 더욱 많이 분담하기 때문에 코로나19 이후 늘어난 육아부담은 상당 부분 여성에게 전가됐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여성 취업·남성 미취업'(4.1%)보다 '남성 취업·여성 미취업'(41.6%)의 경우가 10배 가량 많다.

오 차장은 "미혼여성 취업자는 코로나19 확산 초기 6% 내외 감소한 뒤 6개월 만에 이전 수준을 회복한 반면, 육아부담이 있는 기혼여성 취업자는 초기 10% 가량 줄은 뒤 1년간 회복이 부진한 모습"이라면서 "특히 초등생 자녀를 두는 경우 육아와 함께 교육 부담도 커 고용률이 더욱 큰 폭으로 하락했다. 육아부담 증가에 따른 노동공급 감소가 AWE를 압도하면서 기혼여성의 고용악화가 더욱 심각하게 발생했다"고 말했다.

향후 여성고용의 회복 추이는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이 동시에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사회적 통념 측면에서 여성에게 가중된 육아부담이 남성과 함께 분산될 가능성이 크다. 또 근로조건의 측면에서도 팬데믹 여파로 급속히 확산된 유연근무제는 여성 경제활동 참여에 더욱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일자리 자동화 대체는 고민거리다. 감염병 확산 리스크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경기회복 과정에서 발생하는 추가적인 노동수요를 자동화로 대체할 유인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기업들은 봉쇄조치로 인한 노동력 부족에 대응해 노동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여성취업자 비중이 높은 직업인 일반 사무직, 서비스직 등에서 자동화 대체 경향이 높았다.

오 차장은 "여성 경력단절이 장기적으로는 인적자본 손실, 잠재성장률 하락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부부 맞돌봄 문화 확산, 유연근무제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