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탕 노린 토지 경매 '활활'···'묻지마 투자' 주의 필요
한탕 노린 토지 경매 '활활'···'묻지마 투자' 주의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구리 개발제한구역 토지, 감정가 1.5배로 낙찰
토지보상금, 낙찰액보다 적어 포기 사례까지
경기 구리시 토평동 일대 모습. (사진=네이버 지도)
경기 구리시 토평동 일대 모습. (사진=네이버 지도)

[서울파이낸스 이서영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태 이후 토지가 돈이 된다는 인식이 팽배해지면서, 보상금을 노리고 토지 경매가 활황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경매 응찰에서 묻지마식 투자가 횡행하면서, 투자 판단에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26일 의정부지방법원, 지존 등에 따르면 지난 18일 경기 구리시 토평동에 있는 대지 2필지 649㎡입찰을 진행했다. 감정가 3억5412만원에 나온 이 토지는 첫 입찰이었음에도 응찰자 7명의 경쟁 끝에 5억2857만원에 낙찰됐다. 이는 감정가에 149.26%에 해당하는 수치다.  

해당 토지는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으로 토지 투자에서 기피해야할 곳 중에 하나였지만 구리시가 추진하는 한강변 도시개발사업에 전면적이 편입된 탓에 높은 액수에 낙찰됐다. 즉, 향후 토지보상금을 노린 투자인 것이다.

다만, 구리 한강변 도시개발사업은 현재 사업 초기 단계로 아직 갈 길이 멀다. 민간사업자를 공모했지만, 사업 시작의 전제조건은 개발제한구역의 해제다. 구리시가 내년 그린벨트해제를 목표로 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시행 가능성은 아직 미지수다. 

실제로 최근 그린벨트가 해제된 부산 해운대구 센텀2지구 첨단산업단지는 11년, 울산 장현도시첨단산업단지는 6년만에 해제가 결정났다.

앞서 구리시는 구리 한강변 도시개발사업 이전에도 같은 곳에서 13년동안 구리월드디자인시티 친수구역 사업을 추진했다. 이 또한 그린벨트 해제를 진행하려고 했지만, 여태 풀지 못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이미 사업이 틀어졌던 곳인데, 너무 쉽게 투자를 선택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와 같은 묻지마식 토지 투자가 늘어나는 이유로는 토지보상금이 꼽힌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3기신도시와 관련해 토지보상금을 약 9조1054억원을 풀기로 했다. 또한 LH 땅 투기 사태 이후, '나도 그린벨트에 투자해서 한 몫 챙길까'라는 마음가짐으로 토지투자에 뛰어들고 있는 이들이 늘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는 설명한다. 

실제로 지난달 부천시 대장동에 있는 대지 2필지 172㎡가 14명의 경쟁 끝에 감정가 1.5배에 낙찰됐다. 그러나 해당 토지는 토지보상가는 낙찰금액보다 낮을 가능성이 크다. 부천 대장지구는 지난해 5월 신도시로 지정된 만큼 토지보상 감정평가 기준도 그때를 기점으로 진행되기 탓이다.

때문에 토지를 낙찰받았지만, 토지보상금이 생각보다 작아 낙찰을 포기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부산 동래구 명륜동의 한 토지는 감정가의 2배에 해당하는 가격에 낙찰됐다. 이 토지는 동래사적공원 민간공원 특례사업에 편입돼 토지보상을 앞두고 있는 상태였지만, 낙찰자는 잔금납부를 포기했다. 이는 낙찰금액 보다 토지보상금이 현저히 적어 잔금을 낼 경우 더 큰 손실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뒤늦게 알아 포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묻지마식 토지 투자를 주의하라고 당부한다. 신태수 지존 대표는 "최근 토지 투자에 대한 문의가 늘고 있는데, 투자자들은 이와 같이 묻지마식 투자를 경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그린벨트 제한 구역은 더욱 조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