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또 반도체 대응 회의···삼성전자, 3회 연속 참석
백악관, 또 반도체 대응 회의···삼성전자, 3회 연속 참석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회의 중 웨이퍼를 보여주는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회의 중 웨이퍼를 보여주는 바이든 미국 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김호성 기자]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또 다시 반도체 업계 관계자들을 소집했다. 올해 1월 정부 출범 이후 반도체 부족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벌써 세 번째 회의다. 이 자리에서 기업들의 자발적 정보 공유를 압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브라이언 디스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과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은 23일(현지시간) 반도체 업계 관계자들을 초청한 화상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선 △전 세계적으로 지속하고 있는 반도체 부족현상 △코로나19(COVID-19)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반도체 공급망 영향 △반도체 제조사와 소비업체 등 공급망 전반에 걸친 투명성과 신뢰 증진을 위한 업계의 진전 등이 논의된 것으로 전해진다. 바이든 행정부는 반도체 부족 해소를 우선 과제로 강조하며 4월과 5월에도 관련 회의를 소집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회의 소집에 앞서 브리핑을 열고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끊임없이 반도체 칩을 사용한다"며 "오늘 이벤트 참가자는 애플 및 마이크로소프트(MS)와 같은 가전 업계, GM·다임러·BMW 등 자동차 업계 그리고 농업과 인프라(사회기반시설)를 지원하는 기업 관계자들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이후 반도체 부족 문제가 최우선 과제였다"며 "더 큰 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해 반도체 부족 현상이 미국 근로자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업계에 의존해야 한다는 것도 알고 있다"고 회의 소집 배경을 설명했다.

사키 대변인은 "우리는 계속해서 의회와 협력해 반도체 칩에 대한 국내(미국) 제조 역량을 확장 및 강화하고 공급망 회복력을 다루는 연방의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장기적인 해법에 자금을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해외의 혼란이 미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파트너 및 동맹국과 협력하고 있다"며 동남아시아 및 기타 지역의 외국 정부와 협력해 주요 공장을 계속 가동하는 한편 현지 공중보건 대응 및 근로자 안전 지원을 위한 코로나19 예방 조치도 취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전 회의와 비슷하게 삼성전자와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의 TSMC, 인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제너럴 모터스, 포드, 다임러, BMW 등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의 경우 앞서 두 차례 열린 회의에도 모두 참여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기업에 '투명한 정보 제공'을 압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은 "상무부가 체계적 대응을 명분으로 기업에 45일 내로 재고와 주문, 판매 등 내부 정보를 자발적으로 제출할 것을 요구했으나 다수 기업이 난색을 표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업의 부정적 반응에도 미 정부는 민간기업에 필수 물품 생산을 강제할 수 있는 국방물자생산법(DPA) 발동까지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전쟁 시절 군수물자 생산을 위해 마련된 DPA는 최근 코로나19 백신 수급을 위해 적용된 적이 있다.

러몬도 장관은 이날 회의에 맞춰 언론 인터뷰에도 적극 나섰다.

그는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반도체 수급 상황과 관련 "더 나아지지 않고 있고 어떤 면에서 더 나빠지고 있다"면서 "더 공격적이 될 때"라고 강조했다. 기업에 정보 제공을 요구한 것과 관련해서는 "목표는 투명성 제고로 병목 발생 지점을 파악하고 문제를 예상하는 것"이라며 "기업이 협조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한 수단이 있다"는 압박성 발언도 했다. 미국 내 반도체 생산 역량 강화를 위해 기업에 더 강경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