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금리 시대' 끝낸 한은···내년 1분기 추가 인상 가능성↑(종합)
'제로금리 시대' 끝낸 한은···내년 1분기 추가 인상 가능성↑(종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통위, 기준금리 0.75%→1.00% 0.25%p 인상
"금융불균형·인플레이션 해소 위해 인상 필요"
"여전히 완화적···경제 회복 저해할 수준 아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 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며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 한국은행)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1%로 인상하기로 하면서 0%대 '제로금리' 시대의 막을 내렸다. 고(高)물가 상황이 예상보다 길어지는 가운데 직전 가계부채 통계마저 상황이 크게 개선되지 않자 금리 인상을 단행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한은은 내년 1분기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시장에선 사실상 기정사실화된 이번 금리 결정보다 한은이 내년 언제쯤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컸는데, 이주열 한은 총재는 통화정책 정상화 흐름의 당위성을 강조하면서 1분기 금리 인상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한은 금통위는 25일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연 1.00%로 0.25%p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2년9개월 만에 금리를 올렸던 지난 8월에 이어 올해 두 번째 금리 인상이며, 이 총재가 취임한 이후 네 번째 인상이다. 앞서 금통위는 지난해 코로나19 충격을 상쇄하기 위해 지난해 3월 '빅컷'(1.25%→0.75%)과 5월 추가 인하(0.75%→0.50%)를 단행했다. 이후 올해 8월과 이달 금리 인상에 나서면서 0%대의 금리 시대는 막을 내리게 됐다.

이번 한은의 금리 인상 결정은 금융불균형 해소와 물가 안정 차원에서의 선제적인 금리 인상 대응이 현재 경제성장률 흐름을 크게 저해하지 않을 것이란 판단에 따른 것이다.

우리나라 경제의 가장 큰 뇌관으로 꼽히는 가계빚의 경우 올해 9월말 기준으로 1845조원에 달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가계부채 누증에 따른 부채총량 관리에 나선 정부의 '대출 옥죄기'와 지난 8월 한은이 금리 인상을 단행했음에도 오름세는 크게 둔화되지 않았다. 이 총재가 금리 수준이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평가한 것과 같이 가계부채 누증 상황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선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것이란 관측이다.

아울러 물가상승 압력이 커진 점도 인상 결정에 상당한 영향 미쳤다. 금통위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8월 전망경로를 상회해 2%를 상당폭 웃돌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지난달 물가상승률은 3.2%로 크게 높아졌으며, 식료품·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율도 2.4%로 높아졌다. 이에 한은은 지난 8월 예상했던 연간 2.1%, 내년 1.5%의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불과 3개월 만에 올해 연간 2.3%, 내년 2.0%까지 대폭 상향 조정했다.

이 총재는 "무엇보다 국제유가를 비롯한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예상보다 크게 확대되고 있고, 수요측 물가상승 압력도 매우 높아졌다"면서 "소비자물가 품목 중 목표치인 2%를 상회하는 품목 개수가 연초보다 최근 크게 늘어나는 등 수요측 물가압력을 나타내는 근원 품목의 오름세가 상당하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길어진다면 국내 물가에 대한 상승 압력을 전방위적으로 높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이같은 리스크를 감안해 금리 인상을 단행하더라도 경제성장률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우리나라가 견조한 수출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백신접종 확대, 방역조치 완화, 재난지원금 지급 등에 힘입어 민간소비 부문에서도 빠르게 반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른 전망도 기존 경로와 같은 올해 4%, 내년 3%를 각각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한국은행)

시장에서 주목했던 내년 금리 인상 시기와 관련해선 1분기 인상론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이번 인상 결정은 이 총재가 앞서 '특별한 경제의 위협이 없는 한'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고 언급했던 만큼, 충분히 예상 가능한 결정이었다. 이에 업계는 이번 금리 인상보다 한은이 내년 금리 인상 시기를 언제 가져가느냐에 더욱 주목했다.

이 총재는 이날 열린 기자간담회를 통해 향후 금리 인상 시기를 가늠하는 데 극히 말을 아꼈으나, 1분기 금리 인상 가능성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답했다. 이 총재는 "경제 상황에 달려있겠지만, 1분기(금리 인상을)를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면서 "경제 여건이 허락한다면 물가 및 금융불균형 상황이 여전히 나쁘기 때문에 금리를 정상화시켜 나가는 것이 당연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지금의 기준금리 수준이 실물경제 수준을 제약하지 않은 완화적인 수준이라고 하는 것은 분명하다"며 "특정 수준 및 시기를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하지만 시장의 기대가 잘못됐다거나, 중앙은행의 생각과 거리가 멀다고 한다면 부단히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호 간 괴리를 줄여나가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등 일각에서 기준금리 인상에 있어 속도조절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이 총재는 "최근 나오는 주장이 아직 경기가 충분히 회복되지 않은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경기가 다시 꺾이는 게 아니냐는 의견인데 금통위는 그 누구보다 경기 상황에 대해 많이 고려하고 있다"면서 "경제 성장 및 물가 오름세가 확대되는 가운데 가만히 있는다면 완화의 정도는 더욱 커지는 셈이다. 최근 물가 오름세가 확대되면서 실질 금리 수준의 완화 정도는 종전보다 확대됐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대체로 예상한 범주 내에서 움직였다고 평가했다. 김상훈 KB증권 연구원은 "이번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을 결정하는 것, 만장일치 결정이 아니라는 점, 1분기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점 등은 시장에서 어느 정도 예상한 부분"이라면서 "결정문 발표 직후 국고채(국채) 금리가 잠시 내려가기도 했으나, 하락폭을 줄이고 있다"고 말했다.

1분기 이후 내년 금리 상단에 대해선 전문가들의 의견이 엇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내년까지) 1.75~2%대의 금리 상단이 너무 높은 것 아니냐는 발언과 같이 이 총재가 향후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으나, 임기가 마무리되는 3월 이후의 통화정책 기조는 예상하기 어렵다"며 "내년 3월까지의 이 총재 임기 내 금리는 1.25%로 마무리되는 것이기 때문에 향후 금리 상단과 관련해선 업계의 의견이 상이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