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물가 1%p 상승하면 1년 후 임금 0.3~0.4%p↑"
한은 "물가 1%p 상승하면 1년 후 임금 0.3~0.4%p↑"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물가→임금인상 '악순환' 고착화 우려
"정책적 대응 필요"···추가 금리인상 시사
서울 중구 명동거리. (사진= 연합뉴스)
서울 중구 명동거리. (사진= 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박성준 기자] 물가상승률이 과거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게 올라선 가운데 임금도 시차를 두고 올라서면서 물가-임금 간 상호작용으로 고(高)물가 상황이 고착화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 때문에 금리인상을 비롯한 정책 대응을 통해 인플레이션(물가상승) 기대심리를 억제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25일 발표한 'BOK이슈노트'에 실린 '우리나라 물가-임금 관계 점검' 보고서에서 "최근과 같이 물가 오름세가 높아진 상황에서는 기대인플레이션이 불안해질 경우 물가-임금 간 상호작용이 강화되면서 고물가 상황의 고착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정성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 차장은 "과거 1970년 이후 최근까지 우리나라와 미국 물가 및 임금 장기 추이를 살펴보면 특히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 두 변수가 모두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면서 "물가와 임금의 장기 추이에 비춰볼 때 두 변수 간 밀접한 관계는 존재하며, 이런 관계는 고인플레이션 시기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통계적 분석을 통해 물가-임금 간 장기균형 관계, 시차상관 관계 및 인과 관계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최근 연도의 물가상승률은 익년도 임금상승률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임금상승은 인건비 비중이 높은 개인서비스 부문을 중심으로 시차를 두고 물가에 반영됐다.

실제로 지난 2003년 1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상용직의 정액 급여 상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물가상승률이 1%p 오르는 충격이 발생한 이후 4분기가 지나자 임금상승률이 0.3~0.4%p정도 높아지는 효과가 발생했다.

또한 전체 소비자물가보다는 인건비 비중이 높은 개인서비스물가에 더욱 뚜렷하게 반영되는 경향을 보였다. 개인서비스 물가는 4~6분기가 지난 이후 0.2%p정도 높아졌으나, 공업제품 가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동하지 않았다.

특히 고인플레이션 국면에선 물가와 임금의 상관관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 차장은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이 임금 인상을 통해 실제 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이어지고, 다시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연결되는지를 살펴봤을 때 '기대인플레이션→임금→실제 인플레이션→기대인플레이션'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며 "지난 1990년대부터 최근까지 자료를 모두 이용해 '시변 충격 반응'을 추정해봐도 임금 충격에 대한 물가의 반응은 저(低)인플레이션 국면에 비해 고인플레이션 국면에서 더욱 크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과 같이 물가 오름세가 크게 높아진 상황에서 기대 인플레이션이 불안해질 경우 고물가 상황 고착화를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선제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책 대응으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산을 억제하는 게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