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업 위기 요인 부동산 PF·ELS···감익은 관리 가능한 수준"
"증권업 위기 요인 부동산 PF·ELS···감익은 관리 가능한 수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LS 운용 여건 어렵지만 내년 반등 예상···상반기 손실폭↓
내년 IB·PF 감익에도 채권·파생운용 위주 개선 '비중 확대'
사진=서울파이낸스 DB
사진=서울파이낸스 DB

[서울파이낸스 남궁영진 기자] 글로벌 긴축 기조와 강원도 레고랜드 사태로 증권사들의 유동성 위기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증권업에 위기 요인으로 회자되고 있는 사안들이 관리 가능한 수준일 것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최근의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유동성 여건 악화와 증시 부진에 따른 주가연계증권(ELS) 부실은 정부 지원 조치와 증권사의 사안별 해결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한국투자증권은 24일 '부동산 PF와 ELS 이슈 점검' 보고서를 통해 "부동산PF와 ELS에 대한 두 가지 문제가 발생했지만, 무차별적인 위기 전이에 대한 우려보다는 정책 지원과 투자심리 안정 등을 통한 문제 해결 가능성과 금융 기관들의 복원력 및 회복 탄력성에 방점을 둘 필요가 있다"며 이같이 제언했다.

백두산 연구원은 "증권 업종은 유동성 위기가 연내 해결될 수 있고, 내년 감익 폭이 작으며 펀더멘털 대비 저평가 상태"라며 "주가는 연초 대비 36%, 최근 1개월 새 12% 하락했지만, PF ABCP 유동성 위기는 향후 정부 지원 조치로 해결돼 크레딧 리스크만 사안별로 개별적으로 평가될 것"이라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내년에는 PF를 포함한 IB 실적은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감익이 가능할 것이으로 백 연구원은 내다봤다.

다만, 사안별로 볼 때, 우선 시급한 증권사 부동산 PF에 대한 점검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주택 거래량 감소와 가격 하락에서 알 수 있듯, 주택 경기가 하강 국면으로 접어들었고, 시장 금리가 급하게 오르면서 PF ABCP를 통한 자금 조달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백 연구원은 "특히 사업성과 무관하게 전반적으로 금리가 오르는 것은 단기 자금 시장과 회사채 시장의 유동성 여건 악화 때문"이라며 "이는 8월 이후 금리 전망 경로가 불확실해졌고, 강원중도개발공사 PF ABCP 이슈가 터지면서 유동성 프리미엄이 확대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백 연구원은 "신용위험과 무관한 무차별적인 유동성 프리미엄 확대는 시장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이라며 "이는 정부 역할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했다.

이에 정부는 금융당국은 전날 '50조원+알파(α)' 유동성을 긴급 투입키로 결정했다. 정부의 유동성 공급 프로그램은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20조원, 회사채·기업어음(CP) 매입 프로그램 16조원, 유동성 부족 증권사 지원 3조원, 주택도시보증공사(HUG)·주택금융공사 사업자 보증지원 10조원 등이다. 

핵심은 넓게 보면, 전반적인 회사채 시장과 단기 자금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이고, 좁게 보면 PF ABCP 시장 안정화를 도모하는 조치였다. 상당히 강력한 조치가 일시에 빠르게 발표된 만큼 자금 경색 개선 효과가 뚜렷할 것으로 백 연구원은 진단했다.

그는 "해당 조치로 인해 시장 안정이 미진할 경우, 앞서 2020년 3월 사례처럼 저신용등급 포함회사채, 기업어음(CP) 매입기구(SPV) 재가동이나 한국은행 환매조건부채권(RP) 대상기관 확대, 정례 RP 매입 도입 등 다양한 방안들이 추후 나올 수 있다"고 예상했다.

ELS 운용 여건도 어렵지만, 내년 반등이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ELS는 통상 조기상환액이 감소하고 6개월 전 대비 기초자산의 수익률이 저조하면 관련 손익이 안 좋아지는 경향이 관찰된다. 실제, 2분기에 업계 전체로 1464억원의 손실이 나기도 했다.

다만, 매크로 관점에서 내년 1분기를 통화 정책 긴축의 고점이라고 본다면, 채권 운용과 비슷한 맥락으로 내년 상반기부터 손실 폭이 축소되거나 이익이 발생하며, 올해 대비 손익 측면에서 증익 요인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백 연구원은 "결론적으로, 단기 PF 유동성 위기가 정부 조치 등으로 해결되고, ELS 헤지 운용에서 적절히 손익이 커버될 것"이라며 "내년 IB와 PF에서의 이익 감소에도 채권 및 파생 운용 위주로 실적이 개선되면서 내년 전체 연간 손익은 2% 감소에 그칠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러면서 "증권업종에 대한 과도한 우려보다는 냉정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으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한다"고 덧붙였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