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무주택자 103만명 상투잡고 55만명은 집 팔아치웠다
작년 무주택자 103만명 상투잡고 55만명은 집 팔아치웠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계청 '2021년 주택소유통계'
서울 시내 아파트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아파트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무주택자 103만명이 집값 고점을 찍은 지난해 주택을 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주택자 중 55만명은 작년에 집을 팔고 무주택자로 돌아갔다.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주택소유통계'를 보면 지난해 기준 총주택 수는 1881만2000호로 1년 전보다 28만6000호 늘었으며, 이 중 개인이 소유한 주택은 1624만2000호로 86.3% 차지했다. 주택 소유자 기준 1인당 평균 주택 수는 1.08호로 전년(1.09호)보다 소폭 감소했다.

주택 소유자 연령별로 보면 50대가 전체의 25.1%로 가장 많았고 40대(22.1%), 60대(21.6%), 70대(11.4%) 30대(10.9%) 등 순이다.

주택 소유자 중 1주택자는 1281만6000명으로 전체의 84.9%다. 2주택 이상인 다주택자는 227만3000명으로 15.1%를 차지했다. 주택 소유자 중 다주택자 비중은 2020년 감소(15.9→15.8%)로 돌아선 이후 지난해 다시 한번 줄었다.

개인별 주택소유 현황을 보면 2020년 무주택자이던 103만6000명은 지난해 주택보유자가 됐다. 주택을 1건 취득한 사람이 100만명, 2건 이상의 주택을 취득한 사람이 3만6000명이었다.

주택 가격이 작년 말 정점을 찍고 올해부터 하락 전환한 사실을 고려하면 정점 부근에서 집을 샀을 가능성이 높은 계층으로 풀이된다. 

반대로 2020년 유주택자였던 1398만9000명 가운데 작년 무주택자로 돌아간 사람은 55만2000명(3.9%)으로 나타났다. 여기에는 1주택자만 아니라 집을 2채 이상 가진 다주택자가 손을 전부 턴 경우도 2만7000명 포함됐다. 집을 1채만 남기고 처분한 다주택자는 32만8000명으로 조사됐다. 1주택자가 다주택자로 전환한 경우는 그 반대 경우보다 적은 28만3000명이었다.

이 밖에 일반 가구 중 주택 소유 가구는 56.2%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다. 이 가운데 서울의 주택 소유율은 48.8%로 17개 광역 지자체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서울에 사는 주택 가구의 약 52%가 무주택자인 셈이다.

특히 지난해 주택 소유한 가구 중 상위 10%의 평균 주택 자산액은 14억8000만원이었지만 하위 10% 평균 주택 자산액은 3000만원에 불과해 집값 차이가 약 50배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1.00%이던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현재 3.00%를 기록 중이다.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입한 경우 이자 부담이 크게 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