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산하는 대기업 성과급 논란···모호한 기준 '도마위'
확산하는 대기업 성과급 논란···모호한 기준 '도마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과급 격차에 다섯번째 노조 생긴 삼성전자
대기업 10곳 중 6곳 성과급···평가 신뢰도 '뚝'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오세정 기자)
삼성전자 서초사옥 (사진=오세정 기자)

[서울파이낸스 이서영 기자] 최근 국내 주요 대기업에서 성과급 지급이 마무리 되면서, 갈등이 커지고 있는 모양새다. 성과주의가 경영계 전반에 확산됨에 따라 부서별 성과급의 격차가 커지고, 오히려 같은 회사 내에서도 상대적 박탈감이 커진다는 것이다. 또한 최근 정부가 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일각에서는 성과급의 모호한 기준에 대한 보완도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11일 산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에 5번째 노동조합이 생겼다. 이는 DX(디바이스경험) 소속 직원들은 최근 별도 노동조합을 설립한 것으로, 반도체(DS) 부문과 성과급 차이에 대한 불만이 노조 설립의 배경이 됐다. 올해 초과이익성과급은 DS는 연봉의 50%, 생활가전사업부는 7% 가량이 지급됐다.  

LG전자도 연간 첫 흑자를 기록한 VS(전장)사업본부와 2년 연속 글로벌 1위를 수성한 H&A(생활가전)사업본부는 각각 기본급의 최대 550%, 300%를 받는 반면 하반기에 적자를 기록한 TV 사업부문는 최대 130%에 그쳤다. 이 외에도 CJ올리브영은 본사 소속 MD 직군이 연봉의 80~160%에 달하는 특별성과급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나머지 직군은 연봉의 20~40%을 받았다. 

성과급 논란은 올해만 있었던 것도 아니다. 2년 전 SK하이닉스 직원들의 반발에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자신의 연봉을 반납해, 임직원과 나누겠다고 선언했지만 일부 직원들은 일회성에 그치는 선심성 성과급은 필요없다며 성과급 산정방식을 '투명'하게 공개해달라면서 이야기했다. 이에 SK하이닉스는 성과급 지급 기준을 대외비였던 경제적 부가가치에서 영업이익의 10%로 재원을 마련한다는 기준을 세웠다.  

성과급과 관련해 회사 내 갈등 속에서도 사람인 HR연구소가 기업 341개사를 대상으로 '2022년 귀속 성과급 지급 현황'을 조사한 결과, 10곳 중 6곳(58.4%)은 '성과급을 지급했거나 지급할 예정이다. 직원들의 사기 진작과 더불어 목표 달성을 위해 사측은 성과급 제도를 지속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성과급 제도를 유지하고 있는 삼성전자 내에서는 오히려 객관적인 성과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직원들이 회사에 대한 아쉬움이 큰 상황이다.  

전국금속노동조합은 삼성 성과급 임금제도 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작년 8월부터 올해 1월까지 삼성전자와 삼성SDI 직원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조사 대상은 노동조합원(47.4%)와 비조합원(52.6%)로 분포해 있다. 

삼성전자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업적평가 등급이 탁월(EX), 매우 잘함(VG), 잘함(GD), 개선이 필요함(NI), 불만족(UN)으로 나뉜다. UN은 절대평가이나, NI 비율은 연봉제 직원이 10% 이내, 비연봉제 직원은 5% 이내로 결정되는 상대평가다. NI 이하로 등급을 받으면 월급은 동결 혹은 삭감된다. 그러나 상대평가에 대한 신뢰도는 높지 않았다. '고과평가는 개인의 노력을 정확하게 반영한다', '고가평가는 신뢰할 만하다'에 대해 각각 부정적인 응답 비율이 76.0%, 75.1%에 달했다. 

해당 설문조사를 진행한 정흥준 서울과학기술대 경영학 교수는 "성과 중심 임금체계 또한 평가의 불완전성이라는 치명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는 만큼 체계적인 연구와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