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안전 경영' 내세운 건설업계···결과는 부실시공
[초점] '안전 경영' 내세운 건설업계···결과는 부실시공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 아파트 지하 주차장 붕괴···GS건설, 일부 시공 책임 인정 
전국 곳곳 시설물 사고 속출···하자분쟁도 매년 3000~4000건
"시공 기본만 지켰어도···", "품질 안전 관리‧점검 강화해야"
2일 오후 인천시 서구 검단신도시 모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구조물이 파손돼 있다. 이곳에서는 지난달 29일 지하 주차장 1∼2층의 지붕 구조물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연합뉴스)
2일 오후 인천시 서구 검단신도시 모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구조물이 파손돼 있다. 이곳에서는 지난달 29일 지하 주차장 1∼2층의 지붕 구조물이 무너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오세정 기자] 최근 인천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에 대해 GS건설이 시공상 책임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한 가운데 건설업계 부실시공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최우선 경영 과제로 '안전 경영'을 꼽았던 건설사들이 실제 건설 현장에선 기본 원칙을 지키지 않고 안전 관리에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인천 서구 검단신도시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지하주차장 2개층 지붕 구조물 총 970㎡가 붕괴된 사고와 관련, 시공을 맡은 GS건설이 책임을 인정하고 공식 사과했다. 사고가 발생한 지하주차장 지붕층 전체 700여곳 중 30여곳에서 상부와 하부 철근을 연결해 주는 전단보강근이 설계와 달리 시공 당시 누락된 것으로 확인됐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GS건설 관계자는 "이번 사안은 공식적인 조사위원회 조사와 별도로 자체 조사를 통해 확인한 일부 과실에 대한 내용으로, 붕괴 사고 원인은 당국 조사가 진행 중"이라며 "현재로선 사고 수습을 최우선으로 놓고 당국 조사 결과에 따라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전국 아파트 현장 점검 등을 통해 필요한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붕괴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시공을 누락했다는 점에서 시공사로서 책임을 피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시공사가 발표한 시공 누락 내용을 보고 솔직히 놀라웠다. 시공사로선 있어선 안되는 일이고 실제 흔치 않은 일"이라며 "공기 단축이나 원가 감소 등을 위한 고의 누락은 아니었겠지만 협력사나 현장, 시공 프로세스 관리가 미흡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문가 역시 설계‧시공 과정에서 각자의 역할을 기본적인 원칙대로만 수행했어도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수영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잇딴 붕괴 사고의 경우 근로자 안전 관리와는 다른 시설물 안전·품질 안전 차원으로, 설계나 시공 프로세스, 기술적인 부분에서 문제 원인을 찾고 책임 규명도 이뤄져야 한다"면서 "시공사는 설계 도면 그대로 시공을 잘하는 게 가장 중요하고 설계 역시 감리 등을 통해 문제없는 설계를 수행 했으면 된다"고 꼬집었다.

특히 문제는 건설 현장 안전사고가 끊이질 않아 건설사들의 부실시공 우려도 커지고 있단 점이다. 업계 전반에서 핵심 과제로 안전 경영이 부각됐음에도 현장의 대형 사고는 여전히 속출하고 있다.  

실제 검단신도시 아파트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 일주일 뒤인 지난 6일에는 인천 미추홀구 용현동 A아파트에서 입주 시작 이틀 만에 높이 1m, 길이 20m 옹벽이 무너졌다. 지난 1월엔 부실시공으로 인해 흙막이가 붕괴됐고, 지난 3월과 4월에는 울산과 여수 건설현장에서 37m 높이 중장비가 쓰러져 인근 주택을 덮치고 공사장 크레인이 넘어지는 등 사고가 각각 발생했다. 특히 울산 현장의 시공사였던 신세계건설은 정두영 대표가 직접 사과문을 발표하며 재발 방지를 약속하기도 했다.

또 2015년 이후 매년 3000~4000건 안팎의 하자 분쟁 사건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작년 한 해 국토부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는 총 3027개 사건이 접수됐다. 지난 3년간 접수된 하자 유형으로는 결로(3316건), 기능불량(367건), 오염 및 변색(339건), 들뜸 및 탈락(312건), 누수(238건) 등이 있었다. 

이에 따라 건설업계가 경각심을 가지고 시설물‧품질 안전 관리에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아졌다. 다만 안전사고 발생 직후에 관련 대책이나 제도 마련에 나설 것이 아니라 건설 현장 전반에 안전 관리 문화가 정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GS건설은 이번 사고를 계기로 향후 10주간 공인기관인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와 전국 83개 아파트 현장 정밀 안전 점검에 나선다. 시공 과정과 상태를 확인하고 아파트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입주 예정자들과 직접 확인할 예정이다. 충분한 샘플을 토대로 설계 적합성도 추가 검증한다. 또 임병용 부회장과 우무현 사장이 직접 전국 110개 모든 공사 현장을 돌아보며 안전 점검 회의도 진행한다.

앞서 작년 아파트 붕괴 사고로 고초를 겪었던 HDC현대산업개발도 사고 이후 광주 화정 아이파크 리빌딩에 힘쓰며 안전 문화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HDC현산 관계자는 "안전 문화 강화를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 확대는 물론, 품질실명제 제도 운영, CSO 조직 및 시공혁신단 신설 등 내부 조직 강화, 외부 위원을 통한 안전 점검 등 체계적인 시스템을 마련해 운영 중에 있다"고 말했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안전관리라는 게 근로자 안전 위주로 이뤄지는 측면이 있는데 최근 잇따라 사고가 발생하면서 업계도 시설물 안전과 품질 안전 관리에 경각심을 갖게 될 것"이라면서 "회사 내부적으로도 설계대로 시공을 잘 하고 있는지, 설계 자체 문제는 없는지 관리‧점검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