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AI기업들 "데이터 주권 확보 위해 정부 지원 필요"
국내 AI기업들 "데이터 주권 확보 위해 정부 지원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영찬·변재일 의원, 31일 AI 주권 방어 위한 정책 토론회 개최
과기정통부 "민간 데이터 활성화,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할 것"
3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초거대 AI 시대의 대한민국 그리고 AI 주권' 토론회서 참가자들이 두 손으로 'AI'를 표현하고 있다. (사진=이도경 기자)

[서울파이낸스 이도경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구글 등 글로벌 플랫폼의 생성형 AI(인공지능) 경쟁이 국가 간 패권 다툼으로 이어지는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 AI 주권 확보를 위한 정부의 방어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하정우 네이버 AI 랩(Lab) 소장은 3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진행된 '초거대 AI 시대의 대한민국 그리고 AI 주권' 토론회에 참석해 "챗GPT 등 초거대 AI의 플러그인(Plugin) 생태계가 국내외 스타트업 사이 기회의 장이 되고 있지만, 글로벌 테크 클라우드에 모든 데이터가 흘러갈 경우 데이터 주권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는 윤영찬·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주재로 네이버·카카오 및 이동통신 3사(SK텔레콤·KT·LG유플러스) 의 AI 전문가들과 학계 교수들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플러그인 서비스란 챗GPT등 생성형 AI가 제공하는 자연어 기반의 상호작용을 다른 외부 주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연계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챗GPT와 채팅을 하며 여행 전문 사이트 '익스피디아(Expidia)'에서 호텔 정보 확인과 예약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식료품 배달 플랫폼 '인스타카드(Instacart)'에서 레시피 확인 민 식료품 주문을 할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다만 하 소장은 우리나라가 초거대 AI를 보유한 미국 등 국가에 의해 데이터 주권을 잃는다면, 국내 생태계의 기술 종속과 해당 국가에 편향된 정보 유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만일 미국이 초거대 AI를 이용해 미국에는 80%의 정보와 20%의 광고를 제공하고, 우리나라에는 80%의 광고와 20%의 정보를 전한다고 해도 대처할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또 거대 AI 플랫폼이 우리나라에 서비스와 소프트웨어 사용 비용을 일방적으로 올릴 경우에도 손실을 감내할 수밖에 없다고 그는 덧붙였다.

그는 최근 구글이 자사 생성형 AI '바드'의 제2 외국어로 한국어를 본격 지목한 상황에서, 현재 구글과 네이버가 펼치고 있는 검색시장 경쟁 그 이상의 결전이 벌어질 수 있다고도 전했다.

하 소장은 "한국은 특수성이 있는 중국과 러시아를 제외하고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구글에게 잠식당하지 않은 자체 검색엔진 보유국"이라며 "경쟁력 있는 자국어 기반 생성형 AI를 구축하고, 나아가 글로벌 시장으로 뻗어나가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도 세제 혜택, 공동투자 등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성석함 SK텔레콤 정책협력 부사장 역시 "초거대 AI 산업 생태계의 선순환 혁신을 위해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성 부사장은 "AI 시대 국가 경쟁력은 모델 자체의 경쟁력뿐 아니라 활용 역량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보이는데, 실제 산업 현장 내 AI 도입률은 매우 저조한 상황"이라며 "민간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선행 기술 개발과 인프라 구축 등 정부 지원과 보다 과감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국내 AI 개발 주체들이 해당 사업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엄열 과기정통부 인공지능정책관은 "활용 가치가 높은 데이터를 민간에서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기반을 조성하겠다"며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방안과 신규 정책과제를 추진함과 동시에 AI법 제정 지원을 통한 신뢰 확보로 성장과 질서를 동시에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