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바닥 지났나···HBM 덕에 2Q D램 매출 20% 증가
반도체 바닥 지났나···HBM 덕에 2Q D램 매출 20% 증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K하이닉스 2위 탈환
SK하이닉스 반도체 생산라인(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반도체 생산라인(사진=SK하이닉스)

[서울파이낸스 이서영 기자] 한동안 침체됐던 반도체 시장에 성장세가 보이기 시작했다. 올해 2분기 글로벌 반도체 업계의 D램 매출이 1년만에 오름세로 돌아섰다. 

24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 세계 D램 매출은 약 114억3000만달러로 전 분기 대비 20.4% 증가했다. D램 매출은 지난해 3분기부터 전 분기 대비 하락세를 이어왔다. 

D램 시장 점유율 1위 삼성전자의 2분기 매출은 45억3000만달러로 전 분기(41억7000만달러)보다 8.6% 증가했다. 그러나 시장점유율은 1분기 43.9%에서 2분기 39.6%로 4.3%포인트(p) 하락했다.

SK하이닉스의 2분기 D램 매출은 34억4000만달러로 전 분기(23억1000만달러)보다 무려 48.9% 급증했다. 같은 기간 시장점유율도 24.4%에서 30.1%로 상승하며 2위 자리를 탈환했다.

트렌드포스는 "SK하이닉스의 출하량이 전 분기보다 35% 이상 증가했다"며 "평균판매단가(ASP)가 높은 DDR5와 HBM 출하량이 크게 늘었다"고 분석했다.

3위 마이크론의 2분기 D램 매출은 전 분기(25억5000만달러)보다 15.7% 증가한 29억5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시장 점유율은 26.9%에서 25.8%로 소폭 하락했다. 

마이크론의 점유율이 하락한 것은 고대역폭메모리(HBM) 개발이 다소 늦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2분기 D램 공급업체 출하량 증가는 HBM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