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파이낸스 이도경 기자] 네이버는 '네이버 이용자보호 및 자율규제위원회(가칭)'가 18일 공식 출범한다고 밝혔다.
자율규제위원회는 네이버와 독립된 위원회로 기업 스스로 자율규제 방안을 마련하고, 점검 체계를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한다.
위원회는 '플랫폼 민간자율기구' 산하의 4개 분과와 유기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분과에서 논의된 안건을 검토하고 실행할 예정이다.
플랫폼민간자율기구는 민간 스스로 자율규제방안을 만들기 위해 지난해 8월 출범한 민간 자율논의기구로, △갑을분과 △소비자·이용자분과 △혁신공유·거버넌스분과 △데이터·인공지능(AI)분과 등 4개 분과로 구성됐다.
위원회는 △이진수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박민수 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최난설헌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김현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교수 △정지연 한국소비자연맹 사무총장 등 9인의 외부 전문가들로 구성됐다.
초대 위원장으로는 권헌영 고려대학교 교수가 위촉됐으며, 임기는 2024년 12월까지다.
위원회는 쇼핑, 커뮤니티, 콘텐츠 등 다양한 서비스 영역에서 네이버가 자율적으로 이용자 보호와 서비스 품질 개선을 추진해 나갈 수 있도록 개선안 건의 및 자문‧평가를 진행하고 연 1회 자율규제와 상생활동을 담은 성과 보고서를 발간한다.
이와 함께 △다크패턴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점검 △검색 품질을 저해하는 어뷰징 대응책 마련 △소비자 보상 및 분쟁처리 프로세스 개편 등을 중점 과제를 선정해 개선활동을 진행한다. 더불어 위원회는 매월 정기회의를 열고, 논의된 내용을 외부에 투명하게 공개할 예정이다.
권헌영 네이버 이용자보호 및 자율규제위원회 위원장은 "위원회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최고 수준의 소비자 및 이용자 보호 수준을 달성할 수 있도록 자율규제방안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 "위원회를 통해 자율규제제도의 선진적 모델을 우리 사회는 물론, 전 세계에 알리는 기회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