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IB제도 활성화, 정부의 추가 지원책 필요"
"QIB제도 활성화, 정부의 추가 지원책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행 제도로는 유동성 및 투자유인 부족

[서울파이낸스 윤동기자] 오는 5월2일부터 도입되는 QIB(적격기관투자자)제도가 유동성 부족, 투자 매력 부재 등으로 현행 제도로는 자생이 어렵다는 평가다. 초기에 정부의 지원책이 병행되야 시장이 자리를 잡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28일 금융투자협회의 주최로 열린 'QIB제도 도입 및 활성화 방안 채권포럼'에서 참석 토론자의 대부분은 시장 도입 초기에는 유동성이 부족해 거래정착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또 투자자 입장에서는 매우 위험한 채권임에도 투자매력이 부족해 시장이 유지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정부의 추가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것.

이날 해외 QIB 제도의 현황에 대해서 발표한 정희준 전주대학교 교수는 사모로 채권이 발행되더라도 향후 공모로 전환되는 미국의 QIB 채권시장인 'Rule 144A'의 사례를 들면서 이런 지원책을 생각해봐야한다고 주장했다.

토론자로 참석한 김보형 KTB자산운용 이사도 "개인들은 이 시장에 들어와서 얻을 수 있는 혜택이 있어야 한다. 비과세 혜택이나 분리과세, 공모주 청약에 우선 배정받을 수 있는 권리를 준다던지 그런 혜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 조성에 대해서도 "정책당국이 QIB 유통시장에 마켓메이킹을 하는 등 당국의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중소기업 채권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듀딜리전스(Due Diligence)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적합한 요건을 갖춘 증권사를 프라임 QIB로 지정해 기업실사 과정을 거쳐야 시장이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현영 대우증권 캐피탈마켓 본부장은 "프라임 QIB가 채권 물량의 10% 정도를 의무적으로 사게 해서 철저하게 듀딜리전스를 해야 한다"며 "프라임 QIB가 되는 증권사도 자기 자금이 들어가는 만큼 실사에 신경을 쓸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에도 현행 기업이나 펀드가 트리플B 이하의 채권을 사지 못하게 하는 제도도 문제로 꼽혔다.

황세운 상명대학교 교수는 "펀드나 연기금은 트리플B 이상만 담아야 하는데 QIB는 대부분 이 이하다. 결국 펀드나 연기금은 거래를 할 수 없는 구조다"라며 "향후 담는 종목 하나하나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위험자산도 좀 있고 안전자산도 있게 해서 펀드 전체의 위험을 평가하는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