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단 內 회의론 대두
[서울파이낸스 성재용기자] 쌍용건설이 워크아웃(재무구조개선) 신청 3개월 만에 고비를 맞았다. 채권단 사이에서 워크아웃 대신 법정관리로 가자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28일 금융권 등에 따르면 쌍용건설 채권단은 이번 주 여신정책회의를 열어 1070억원의 출자전환과 4450억원의 신규 자금지원에 대한 입장을 정리할 방침이다. 출자전환이 부결될 경우 신규 자금지원도 이뤄지지 않아 쌍용건설의 워크아웃은 끝내 불발된다.
이날 회의를 여는 산업·신한·국민은행과 오는 30일 회의를 여는 하나은행 역시 워크아웃에 부정적인 견해가 팽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 채권금융기관들도 워크아웃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의사결정을 미루고 있는 주요 채권기관 중 동의하지 않은 기관이 있으면 워크아웃이 불발될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워크아웃은 채권단의 75%가 동의해야 개시된다.
이 같은 부정적 기류는 지원의 실익이 별로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채권단은 이미 쌍용건설에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 매입과 출자전환 등으로 3700억원을 지원했으며 2400억원의 신규 해외 지급보증이 논의되고 있다.
여기에 추가 출자전환과 유동성 공급을 더 할 경우 1조16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이 들어간다. 기존 채권 1조3000억원에 맞먹는 규모다.
A 채권은행 관계자는 "지난주 금융감독원이 소집한 부행장 회의에서도 부정적 의견이 다수였다"며 "쌍용건설 지원에 불합리한 부분이 너무 많다"라고 지적했다.
뿐만 아니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와 군인공제회가 자금을 회수하려는 움직임 역시 채권단의 지원 명분을 흔들고 있다. 캠코는 법적인 문제가 있고 군인공제회는 워크아웃 비협약기관이긴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채권단의 지원금이 이들 기관의 자금회수에 쓰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추가자금지원이 필요한 워크아웃 대신 법정관리를 거쳐 청산절차를 밟는 게 낫다는 의견이 채권단 내에서 나오고 있는 것이다.
회계법인 삼정KPMG 실사 결과, 쌍용건설은 존속가치가 청산가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추가자금지원을 전제로 한 것인 만큼 채권단 입장에서는 이제라도 발을 빼겠다는 것이다.
실사 보고서에 따르면 쌍용건설은 가장 문제가 되는 우이동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1150억원에 대한 상각을 하지 않은 채 미뤄둔 것으로 나타났다.
B 채권은행 관계자는 "추가 유동성 4450억원을 또 출자전환해야 한다"며 "매각 실패로 연말에 상장 폐지되면 쌍용건설 주식은 휴지조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워크아웃이 불발될 경우 채권단도 하도급대금·PF 보증과 대출 등으로 약 2조1000억원의 피해가 예상돼 진통 끝에 워크아웃에 동의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대규모 해외수주가 무산되고 1400개 협력업체가 어려움을 겪는 점을 들어 자금지원을 압박하는 금융당국의 입장도 채권단을 '전략적 선택'으로 이끌 수 있다는 것이 업계 중론이다.
C 채권은행 관계자는 "부정적인 의견도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정권 초기인 만큼 최종적으로 반대의견을 피력하는 은행이 많진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