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하락에도 가격인상…식음료업체들, 소비자 '우롱'
원가하락에도 가격인상…식음료업체들, 소비자 '우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8개 업체 중 오리온·삼립식품 제외 6곳 매출원가율 하락

[서울파이낸스 남라다기자] "그간 원가 부담을 자체적으로 감내해왔으나, 한계에 도달해 불가피하게 가격을 올렸다" (식품업체 A사) 

최근 국내 식품업체들이 원가부담을 이유로 줄줄이 가격인상에 나서고 있지만, 이같은 설명과 달리 원가부담은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재벌닷컴이 12일 최근 가격 인상을 예고한 8개 식음료업체들의 원가를 조사한 결과, 매출원가가 되레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8개 업체의 1∼3분기 연결기준 총 매출액(8조9683억원) 대비 매출원가(5조6813억원) 비율은 63.3%로, 지난해 같은 기간(63.7%) 보다 0.4%p 하락했다.

매출원가는 상품 및 제품의 매입원가 또는 제품원가 등을 뜻하며 매출에서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영업손익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식음료업체들이 가격인상 요인으로 내놨던 원가 부담과도 직결돼 있다.

업체별로 보면, 8개 업체 중 오리온과 삼립식품 등 2개사를 제외한 롯데칠성음료, 농심, 롯데제과, 크라운제과, 해태제과, 삼약식품 등 6개사는 모두 매출 대비 매출원가 비율이 하락했다.

실제로, 롯데칠성음료의 2013년 1∼3분기 매출(1조7179억원) 대비 매출원가(9951억원) 비율은 57.9%로 전년 동기(59.7%)보다 1.8%p 떨어졌다. 롯데칠성음료는 지난 10일 칠성사이다 등 14개 제품을 평균 6.5% 올렸다. 롯데제과도 빼빼로 등 주력상품 가격을 최대 20%나 인상한다고 밝혔는데, 매출원가 비율은 오히려 63.1%에서 62.6%로 0.5% 줄었다.

또한 농심의 매출원가 비율은 73.1%에서 72.1%로 1%p 낮아졌지만 새우깡 등 평균 7.5% 가격 인상을 단행한 바 있다.

크라운제과와 해태제과의 매출원가 비율도 각각 2%p(62.2%→60.2%), 1.1%p(60.3%→59.2%) 하락했다. 두 업체의 상품 가격 평균 인상률은 각각 7.1%, 8.7%였다. 삼양식품은 올해 '볶음 간짬뽕' 등 최대 18.2% 가격 인상을 예고했지만 매출 대비 매출원가 비율은 78.1%에서 76.6%로 1.5%p 떨어졌다.

이처럼 매출원가 비율이 하락한 이유는 주력상품 생산에 드는 원자재 가격이 내려갔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라면과 과자의 주원료인 소맥의 수입가격은 2012년 276원에서 지난해 239원으로 13.4% 떨어졌고 같은 기간에 팜유도 990원에서 770원으로 22.2% 하락했다. 롯데칠성음료도 제품에 가장 많이 투입되는 원재료인 당분류나 오렌지 농축액 등의 가격이 5~17% 내렸다.

재벌닷컴 관계자는 "원가 상승 등으로 식음료 업체들이 상품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으나 실제 대다수 식음료 업체의 매출원가는 하락했다"며 "원가가 하락한 만큼 업체들이 벌어들이는 영업익은 높아지는데, 인건비 등 판관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6~20% 넘게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소비자에게 과도한 비용 전가를 한 셈"이라고 말했다.

한편, 오리온과 삼립식품의 매출원가 비율 상승폭은 각각 1.3%p, 2.8%p였다. 이들 업체의 가격 인상폭은 각각 평균 20%, 6.4%로 나타났다.

▲ 최근 가격인상 계획을 밝힌 8개 식음료업체의 매출원가 비율 분석 표 (표=재벌닷컴)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