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銀 '정규직 전환', 은행권 "'모델'되기 어렵다"
우리銀 '정규직 전환', 은행권 "'모델'되기 어렵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우리은행 '계약직 정규직전환 시행안'


국민, 신한銀등 세부案으로 기본골격 벤치마킹
은행별로 전환제외 기준-임금체계등 사정 달라
정규직 임금동결 여부 '변수'...신한 제3案 유력
 
[이재호 기자]<hana@seoulfn.com>우리은행이 금융업계 최초로 비정규직 3,076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함으로써 국민·신한은행 등 정규직 전환을 추진중인 다른 은행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4일 우리은행 노·사 공동 TFT는 지난달 28일 '계약직 정규직 전환에 따른 인사제도 개선시행안'을 확정, 지난 2일자로 MM직군, 사무지원직군, CS직군에 대한 정규직 전환을 단행했다. 이날 정규직이 된 직원은 MM(Mass Marketing)직군 1,982명, 사무지원직군 546명, CS(Customer Satisfaction)직군 548명 등 총 3,076명이다.
그동안 노·사 공동 TFT에서 쟁점이 된 사항들도 대부분 해결됐지만, 임금체계는 마무리하지  못했다.
MM직군과 사무지원직군의 임금체계는 4급이하 일반직원과 동일방식으로 변경하기로 합의한 반면, CS직군의 경우 임금체계는 물론 직위, 승진문제, 성과급 지급 등은 현행제도 유지 후 TFT에서 별도로 검토하기로 했다. 이로써, 사실상 극히 일부사항을 제외하고는 우리은행의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은 마무리된 셈이다.
이제 관심의 초점은 올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추진중인 국민·신한은행 등 다른 은행들에게 우리은행의 정규직 전환이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하는 점이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하면, 은행별 여건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우리은행案이 타은행의 모델역할을 할 가능성은 낮다는 지적이다. 일정부분 벤치마킹은 하겠지만, 그 대로 답습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우리은행案보다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안들이 속속 등장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국민은행의 경우 노·사가 각각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관련한 세부 방안을 만들어 올 2분기 중 최종 합의를 본다는 일정이다.
현재 국민은행은 큰 틀에서는 우리은행의 비정규직 전환 모델을 받아들이기로 노·사간에 의견 일치를 본 상태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전환제외 기준' 등은 우리은행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임금체계'의 경우 우리은행과는 다른 방안이 마련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관련, 국민은행 노조측은 우리은행의 임금체계가 직군별 차별화를 고착화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여기에, 벤치마킹 대상인 우리은행에서도 CS직군의 임금체계가 확정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직군별로 임금체계를 확정하기 보다는 일률적인 임금체계를 적용하는 방안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신한은행의 경우 우리은행의 모델을 받아들이기는 더더욱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다.
지난 2000년 금융권 최초로 전환고시를 도입한 신한은행은 매년 50~100명씩의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해왔다.
따라서, 우리은행처럼 대대적인 정규직 전환시 기존 전환고시를 통해 정규직으로 바뀐 인원들의 반발이 불가피해 보이기 때문이다. 결국, 신한은행은 '제3의 방안'을 마련할 가능성이 그만큼 크다.
또 하나, 우리은행처럼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의 정규직 직원들이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조건으로 '임금동결'을 받아 들일 지 여부도 미지수다. 물론, 이는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문제의 본질은 아니다. 하지만, 임금동결 여부가 다른 쟁점들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대목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은행별로 사정이 모두 달라 우리은행 모델을 일률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전환제외 기준 등의 경우에는 비슷할 가능성이 높지만, 그 외 부문에서는 새로운 방안이 마련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재호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