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證 차세대 가동…인력이동 '신호탄'
대우證 차세대 가동…인력이동 '신호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프레임워크 등 신기술 도입많아…속도가 성공 좌우
인력 대부분 현대증권으로 이동, 인력 숨통트일 듯

[서울파이낸스 이상균 기자] <philip1681@seoulfn.com> 말 많고 탈 많았던 대우증권의 차세대 시스템이 드디어 4일 본격 가동한다. 당초 작년 추석에 가동 예정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약 5개월가량 그 시기가 늦춰진 셈이다. 증권사로서는 삼성증권이 신시스템을 가동한 이후 두 번째다.

증권업계에서는 대우증권의 차세대 시스템 가동을 유심히 지켜보고 있다. 이번 시스템이 한창 차세대 구축이 진행 중인 증권사들에게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속도
대우증권의 시스템 구축을 제품별로 살펴보면, 서버는 IBM의 유닉스가, 스토리지는 HDS의 제품이 도입됐다. 프레임워크는 티맥스소프트의 프로프레임이, 미들웨어 역시 티맥스소프트의 제우스가 선정됐다. DB는 오라클의 제품이 사용된다.

프로그램 언어의 경우 C와 자바가 혼용돼 도입됐다. 속도가 중시되는 부분에서는 C가, 상대적으로 속도 보다는 운영 및 유지 보수 비용의 절감이 중요한 부분에서는 자바가 사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제품 도입 현황 중에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프레임워크의 적용이다. 메인프레임에서 유닉스로의 전환이 일반화되면서 대부분의 증권사들은 프레임워크를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프레임워크가 증권사에서 구축 완료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프레임워크 구축의 성공여부는 속도가 될 전망이다. 사실 이번 대우증권의 프레임워크 적용을 놓고 증권가에서는 뒷말이 무성했다. 목표 속도가 나오지 않아 프레임워크를 엎고, 모듈화를 시도했다는 것이 대표적인 소문이었다. 그만큼 증권가에서 초미의 관심사였다는 얘기다. 또, 티맥스의 프레임워크 구축이 대부분 은행권에 머물러있고, 증권가에서는 첫 사례였기 때문에 이로 인한 시행착오가 만만치 않으리란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결국, 이러한 예상을 불식시키기 위해서는 가동 이후 적게는 한달에서 길게는 3달에 걸친 안정화 기간 중 시스템이 목표 속도를 달성하고, 24☓365의 무중단을 실현해야 한다. 이번 시스템 가동보다 앞으로의 추이가 더 주목받을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인력 연쇄이동
이번 대우증권의 차세대 가동을 가장 기쁜 마음으로 바라보고 있는 곳은 현대증권이다. 대우증권에 투입된 티맥스의 120명 인력이 현대증권에 투입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설계 작업이 막바지에 이른 현대증권은 3월부터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해, 내년 1월 29일 구정 직후에 시스템을 가동한다는 계획이다. 이들 티맥스 인력들은 대우증권에서의 값진(?) 경험을 바탕으로 현대증권의 차세대 개발 작업에 큰 힘이 될 전망이다.

이번 대우증권의 사례뿐만 아니라, 증권사에서는 개발 인력의 유치를 위해 타사의 차세대 가동이 하루빨리 이뤄지길 원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SK증권의 경우 SK C&C가 SI사업자를 맡았다. SK C&C는 서울보증보험과 한화손해보험의 차세대 인력이 지난 연말 빠져나오면서 SK증권의 차세대를 맡게 됐다. 신영증권은 삼성증권에 투입된 삼성SDS의 인력이 투입되면서 차세대 구축이 활기를 띄기 시작했다. 반면, 하나대투증권은 IT인력이 부족하다는 판단 하에 차세대 일정을 늦춘 대표적인 사례다.
 
현재 증권사 중에는 우리투자증권의 차세대 구축이 완료되기를 기다리는 곳이 적지 않다. 우리투자증권의 경우 자사 인력과 SI사업자인 LG CNS 등 타사 인력을 모두 합쳐 약 250명이 개발에 매달리고 있는 상태다. 최종적인 차세대 가동은 오는 9월 16일로 계획돼 있다.
이밖에 은행권에서는 하나은행이 내년 5월 차세대 구축을 마칠 예정이다.

증권사의 차세대 시스템 담당자는 “대우증권이 차세대 시스템을 가동함에 따라 증권사들의 IT인력 운용에도 다소 숨이 트일 전망이다”라며 “더욱이 이들 인력이 흔치 않은 증권IT 경험자라는 것이 희소식”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우증권의 차세대 시스템 구축과 병행해 진행 중이던 통합리스크 시스템 구축은 2월 말에 최종 완료된다.

이상균 기자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