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망 준비보다 고객 경험 극대화 서비스 선제 발굴·제시해야"

[서울파이낸스 이도경 기자] 김영섭 KT 대표이사가 "그간 통신사업자들이 안정적인 인프라 제공에 안주한 게 아닌지 반성할 필요가 있다"고 7일 지적했다.
김 대표는 이날 세계통신사업자연합회(GSMA)가 서울 중구 웨스턴조선호텔에서 개최한 '모바일360 아시아태평양(M360 APAC)' 콘퍼런스 기조연설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날 김 대표는 "지금까지 통신사가 제공하는 '연결성'은 IT와 AI, 클라우드, 로봇, 메타버스 등 모든 신규 기술의 근간이 됐지만, 통신은 물이나 공기처럼 당연한 것으로 여겨져 그 가치가 쉽게 잊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통신사업자들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그 위에 독점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익을 얻는 데 만족하는 동안, 빅테크 기업들은 통신사가 구축한 인프라에 메신저,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자율주행, 인터넷 금융 등 혁신 서비스를 내놓아 디지털 생태계의 주인이 됐다"고 진단했다.
그는 "스스로 변하지 않으면 외부 힘에 의한 '강제혁신'을 타개하기 위한 변화가 필요하다"라고 경고하며, "클라우드, AI, 자율주행 등 빅테크 기업들이 주도하는 영역에서 대등한 IT 역량을 축적하고, 초기 단계인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 헬스케어, 에너지 등 영역에서 주도권 확보다 필요하다"고 전했다.
통신사업자들이 미래 디지털사회의 패러다임을 주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는 "홀로그램 통신, 도시나 국가 수준의 매시브 디지털 트윈, 딥러닝에 기반한 초지능 로봇, 양자암호통신 등 새로운 방식의 통신이 녹아 든 세상으로 변화를 6G와 새로운 ICT(정보통신기술)로 선점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이를 위해 통신사는 통신망부터 준비하는 '인프라 퍼스트'의 접근이 아닌, 고객 경험을 극대화하는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발굴·제시하는 '디지털 서비스 퍼스트'의 접근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미래 디지털사회에서 통신사업자들의 역할에 대해서도 당부했다. 시장 창출 및 선도를 위해 다방면의 고객, 파트너사, 기술기업들과 협력하는 생태계 조성과 함께 글로벌 통신사업자간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서비스 협력, 기술혁신 스타트업과 제휴 및 M&A(인수 합병)를 적극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한편 M360은 유럽,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 등 대륙별 모바일 산업 현안에 대한 아젠다를 정해 논의하는 글로벌 행사다. 올해는 '디지털 퍼스트 미래를 선도하라'를 주제로 △디지털전환(DX) △인공지능(AI) △6세대 이동통신(6G) △핀테크 등에 대한 미래를 논의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 대표 외에도 마츠 그란리드 GSMA 사무총장,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 김우준 삼성전자 네트워크 사장, 양지에 차이나모바일 회장 등 글로벌 ICT 리더들이 연사로 나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