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기업' 삼성電, 잇단 구설…도덕성 '도마위에'
'국민기업' 삼성電, 잇단 구설…도덕성 '도마위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반도체공장 근로자 '백혈병' 논란
장애인 고용 외면…'벌금으로 때우기'
금융불안에도 '달러사재기說' 빈축
 
[서울파이낸스 공인호 기자]<ihkong@seoulfn.com>'국민기업' 삼성전자가 대한민국 대표기업이라는 이미지와 상반된 행보로 정·재계는 물론 정부와 장애인 단체로부터 원성을 사고 있다.
 
올초 촉발된 삼성전자 반도체공장 근로자의 백혈병 논란은 여전히 진행 중에 있으며, 지난해에는 장애인 의무고용을 위반해 적지 않은 부담금을 물었다. 또 최근에는 달러기근이 국내 금융시장의 불안요인으로 부각된 가운데, 해외 인수합병(M&A)를 위해 '달러사재기'에 나선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삼성으로선 달갑지 않은 구설수의 주인공이 되고 있다.
 
■백혈병 발병률 '2배'
최근 노동부 조사에 따르면 삼성전자 기흥과 온양공장에서 발생한 백혈병 환자는 11명이며, 산업안전공단과 근로복지공단 자료에서는 무려 17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환자들 대부분은 20~30대이며 9명은 백혈병으로 이미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 기흥공장 20~30대 직원을 우리나라 동일한 연령층 인구로 환산했을 경우, 기흥공장의 백혈병 발생빈도는 10만명당 4.8명으로 우리나라 20~30대 백혈병 발병 확률(10만분에 2.5명)의 두배에 달한다.

특정 질병이 일반인구 집단보다 발병확률이 월등히 높을 경우 발병 원인이 근무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분석이다.       

이 때문에 관련당국은 올초부터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을 대상으로 역학조사를 벌이고 있지만 삼성측과 당국의 집계가 일치하지 않아 조사 초기단계부터 난항을 겪고 있다.

삼성측은 퇴직한 이후 발병자는 집계에서 제외해야 하며, 림프종 환자 4명 역시 백혈병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당국은 림프종도 백혈병의 일종이며, 퇴직자들도 과거 반도체공장 근무환경이 원인일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백혈병 환자 유가족들은 삼성의 이같은 행동에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유가족 측은 "백혈병은 작업공정상 벤젠과 방사선 물질에 노출된 것이 직접적인 원인일 수 있다"며 "또, 작업속도가 빨라질 경우 방사선 안전장치를 풀어놓는 경우도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삼성측은 "반도체공장에서 벤젠은 전혀 사용하지 않았다"며 "백혈병은 단지 개인적 질병일 뿐"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당국은 지난 6월 온양공장의 유해물질 사료를 채취해 벤젠 사용유무를 정밀분석하고 있다.
 
■1등 삼성에 장애인 '웬말?'
지난해 장애인 의무고용을 위반한 것 역시 삼성으로선 '국민기업'이라는 이미지에 적지 않은 흠집을 낸 사례다.

최근 한나라당 박준선 의원이 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2007 민간부문 장애인 의무고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해 장애인의무고용을 위반해 대기업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82억원의 부담금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두번째로 많은 부담금을 낸 LG(23억원)와 비교해도 3배가 넘는 규모로 장애인 고용이 전무한 실정이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현재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르면 100인 이상 기업체의 경우 상시 노동자의 2%를 장애인으로 채워야 한다. 이를 어길 경우 장애인 수에 월 50만원(의무고용률 1%에 못미칠 경우 75만원)을 곱한 합계액의 부담금을 부과하며, 2% 이상 기준을 넘어설 경우 월 30~60만원의 고용장려금을 지원받게 된다.

이 때문에 장애인고용이 대기업이 아닌 작업환경이 열악한 중소기업들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기업들의 경우 경영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장애인 고용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며, 부담금 역시 대기업들에게는 '푼돈'에 지나지 않아 사회적 책임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장애인의무고용을 위반한 기업들의 명단을 언론에 공개하는 등의 강도높은 제제조치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달러 사재기 '괘씸죄?'
또 최근에는 '글로벌 삼성'이라는 명성(?)을 한껏 과시하는 듯한 의혹을 사면서, 금융시장은 물론 정부로부터 곱지 않은 시선을 받고 있다.

국내 금융시장에 '달러기근' 현상이 지속되면서 시중은행은 물론 중소기업마저 환율 상승에 따른 부도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금융불안은 나몰라라 달러사재기에 나서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혹에 휩싸인 것.

만약 사실이라면, 올초 금융권 안팎의 거센 비난에도 불구하고 고환율 정책을 통해 국내 대기업들을 후선지원했던 정부로서는 삼성에 뒷통수를 맞은 셈이 된다.

삼성의 '달러사재기설'의 진원지는 해외 인수합병(M&A)시장이다.
삼성은 현재 세계 1위 메모리카드 제조업체인 미국 샌디스크 인수를 추진 중이며, 인수에 필요한 자금만 무려 58억5000만달러(6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삼성은 국내 금융시장의 달러기근에도 불구하고 전액 현금으로 지불하겠다는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삼성 측은 이같은 의혹을 전면 부인하며 사태수습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삼성측은 "아직 확정되지도 않은 M&A를 위해 미리 달러를 살 필요가 있겠느냐"며 "6월말 현재 현금성 자산도 6조원가량 되기 때문에 인수대금 확보도 절실하지 않다"고 일축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가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국내 금융기관은 물론 일반 대기업들의 달러수요가 늘고 있는만큼 이같은 의혹이 단순한 소문은 아닐 것이라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또 최근과 같은 달러기근 현상이 심화될 경우, 대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서 달러화를 시장에 풀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삼성과 같은 세계시장에서 활동하는 대기업들의 경우 내수기업에 비해 달러화를 월등히 많이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대기업들이 달러화를 시장에 풀 경우 환율불안 해소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에는 정부까지 나서 하소연하고 있지만 금융시장 불안이 어느정도 해소되지 않는 이상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빠르고 깊이 있는 금융경제뉴스' 서울파이낸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