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신도시 정비사업 기간단축···'노후계획도시 연구회' 본격 운영
경기 신도시 정비사업 기간단축···'노후계획도시 연구회' 본격 운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 사전자문 완료
경기도
경기도

[서울파이낸스 (수원) 송지순 기자] 경기도는 신도시 정비사업의 소요 기간을 단축하고자 지난 10월부터 추진한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안)에 대한 사전자문을 완료하고, 계획의 내실을 다지기 위한 '노후계획도시 연구회'를 구성해 본격 운영한다고 22일 밝혔다.

정비사업 추진의 경우 시군이 경기도에 시군 단위의 기본계획 수립-정비계획 수립-추진위원회-조합인가-사업시행계획인가-관리처분계획인가-착공-준공 등의 절차를 밟으면서 평균 12년이 소요된다.

이 중 통상 기본계획 승인 절차는 6개월 정도가 걸리는데, 열악한 정주환경에 놓인 1기 신도시 주민을 위해 소요되는 기간을 대폭 줄이겠다는 것이 도의 복안이다.

도는 GH의 연구 용역인 '노후계획도시 정비방안 수립' 내용과 도시계획위원회 자문의견을 기반으로 노후계획도시 연구회를 운영해 정비기본계획 승인의 속도와 완성도를 동시에 잡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연구회는 경기도 도시계획위원으로 구성됐으며 오는 22일 첫 회의를 시작으로 12월 정비기본계획(안) 심의 전까지 운영할 예정된다. 

기반시설 용량 검토 및 계획과 기준용적률 설정, 정주환경 개선 등 정비기본계획의 합리적 수립을 검토하고 필요시 대안을 제시한다. 

앞서 도는 지난 15일 경기도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성남시와 부천시의 정비기본계획에 대한 사전 자문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10월 25일 안양, 군포, 10월 30일 고양시에 이어 1기 신도시 5개 도시 모두에 대한 사전자문을 완료했다. 

도는 사전자문 과정에서 제시된 의견이 빠르게 보완될 수 있도록 각 시와 긴밀하게 협력하며, 11월 말까지 정비기본계획 승인 신청을 받은 지자체를 대상으로 올해 말까지 승인을 완료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통해 1기 신도시 노후계획도시 정비사업의 신속하고 원활한 추진을 지원할 방침이다.

김현수 도 도시계획위원회 교수는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을 심의하는 만큼, 법령과 방침에 맞는 계획이 제시됐는지 확인할 예정"이라며 "특히, 계획인구, 용적률, 공공기여가 적정한지 점검하고, 이번 계획에서 제외된 역세권 상업지역 정비도 제도개선방안으로 제시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임규원 노후신도시정비과장은 "사전자문과 연구회는 1기 신도시 정비기본계획의 속도와 완성도를 동시에 확보하고, 연내 정비기본계획이 승인되도록 시와 적극 협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