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서울대, 미래 식량난 해결 위해 식물·전자공학 융합한다
ETRI-서울대, 미래 식량난 해결 위해 식물·전자공학 융합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1회 식물·전자공학 융합 심포지엄 17일 개최
ETRI-서울대 공동연구진이 개발한 플랜트로닉스 기반 식물건강 무인 자동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 실내농업 현장. (사진=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서울대 공동연구진이 개발한 플랜트로닉스 기반 식물건강 무인 자동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한 실내농업 현장. (사진=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울파이낸스 여용준 기자] 국내 연구진이 식물, 농업, 전자공학, 바이오공학을 융합해 인류의 미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에 나섰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7일 서울대 호암교수회관에서 '미래 먹거리 문제 해결을 위한 제1회 식물-전자공학 융합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16일 밝혔다. 

연구진은 이번 심포지엄에서 그동안 개발한 △식물 일체화 전극 기술 △식물 인바디 기술 △플랜트 햅틱스 기술 등의 연구성과를 최초로 공개한다.

먼저 식물 일체화 전극 기술은 식물의 건강을 전기적으로 파악하고 식물이 안정할 수 있도록 전기자극으로 성장을 촉진하는 데 필수적인 전극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연구진은 식물 내 다양한 주파수의 전압을 가하고 이에 따른 미세전류를 분석해 식물의 스트레스 정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대응하는 식물 인바디 기술도 개발했다.

또 연구진이 개발한 플랜트 햅틱스 기술은 촉각이 없는 식물이 바람, 눈, 병충해와 같은 외부 요소들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촉각 기능을 부여하는 기술이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식물학, 농업, 전자공학, 바이오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해 관련 기술의 가능성과 파급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플랜트로닉스 접근법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식물 관리 및 생태계 혁신 방안을 모색한다.

또 △사람 전자공학의 식물 대상 적용 △식물 전자공학 △차세대 식물 진단 △식물모사 소재공학 등의 주제 발표와 전문가 토론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 구축을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ETRI와 공동으로 과제를 수행하고 있는 정수 서울대 교수는 "이번 심포지엄 준비를 통해 지속가능한 농업과 미래 먹거리 문제에 대해 많은 분야의 전문가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학제 간의 교류를 통해 보다 발전적인 연구 결과들이 얻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심포지엄 주최자인 김재준 ETRI 선임연구원은 "기후위기가 전례 없이 심각해지는 현 상황에서 새로운 농업 기술 개발은 단순한 선택이 아니라 필수적인 과제"라며 "이번 심포지엄은 미래 먹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융합 연구의 중요성과 가능성을 확인하는 뜻깊은 자리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ETRI와 서울대가 공동으로 수행중인 신개념선행연구사업의 '초환경적 식물 재배 및 전주기적 관리를 위한 플랜트로닉스 기반 식물건강 직접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과제를 기반으로 개최된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