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파이낸스 문영재 기자]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 부과 시 북미 지역 내 수입 완성체 업체들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미국 경제 매체 CNBC는 13일(현지시간) 글로벌 컨설팅 업체 글로벌데이터의 자료를 인용해 2023년 미국 내 판매된 차량 중 국가별 수입 비중을 분석한 결과, 멕시코(16.2%)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한국(8.6%), 일본(8.2%), 캐나다(7.2%)가 뒤따랐다고 보도했다.
CNBC는 트럼프 행정부가 자동차 관세를 현실화할 경우, 해당 국가 완성차 업체들이 차량 가격 상승과 수요 감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차·기아와 한국지엠은 CNBC의 논평 요청에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달 4일 중국에 대해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 것을 시작으로 '관세전선'을 확대하고 있다. 내달 12일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에 이어 자동차·반도체 등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이다.
업계는 미국은 국내 완성차 업계의 최대 수출 시장으로, 지난해 전체 자동차 수출액(683억달러) 중 50.8%를 차지할 만큼 의존도가 높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부과하면 업계 전반에 상당한 충격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부과가 세계 모든 국가에 동일한 세율을 적용하는 보편관세가 아니라, 국가 간 관세 균형을 조정하는 상호관세 형태로 시행될 가능성이 높아 과도한 우려는 불필요하다고 진단한다.
한 증권가 관계자는 "보편관세는 우회 수출을 어렵게 하고, 양자 협상을 통한 해결 가능성을 낮추는 반면 상호관세는 특정 품목에 대해 국가 간 동일 관세를 부여하게 된다"며 "따라서 무관세 혜택을 보장받고 있는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은 협상을 통해 관세 부과 위협을 완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FTA 체결국인 한국은 무역수지 흑자가 크지만, 상대적으로 낮은 관세율을 유지하고 있어 협상을 통해 관세 리스크를 완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