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파이낸스 이도경 기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자체 개발 중인 한국어 특화 LLM(대규모 언어 모델) '에이닷 엑스(A.X) 4.0'이 개발 막바지에 있으며, 올해 안으로 멀티모달과 추론 기능을 갖춘 모델까지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AI 수요자와 공급자 역할을 아우르는 'AI 컴퍼니'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본격적인 성과 창출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유 대표는 4일 사내 인트라넷에 게시한 ‘SK텔레콤의 르네상스를 위하여’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공유하고, AI 중심의 올해 사업 전략과 방향성을 밝혔다.
그는 "글로벌 통신사들은 주로 네트워크에 AI를 적용해 운영 비용을 절감하거나, 고객 접점 마케팅에 활용하는 등 '수요자 관점의 AI'에 집중하고 있다"며 "SK텔레콤은 여기에 더해 AI를 신성장 동력으로 삼는 '공급자 관점의 AI'까지 확대하고, 궁극적으로는 이 두 역할을 융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AI 인프라 분야에서는 GPUaaS(서비스형 그래픽처리장치)를 주요 성과 창출 영역으로 지목했다. 유 대표는 "람다와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한 GPUaaS는 지난해 12월 가산 데이터센터를 시작으로 빠른 매출 실현이 가능하다"며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전략의 일환으로,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모듈러 데이터센터 △보안 최적화 단일 고객용 데이터센터 △초대규모 AI 데이터센터 등 맞춤형 상품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AI B2B(기업 간 거래) 분야에서는 SK C&C와 '원 바디(One Body)' 체계를 구축해 AIX(인공지능 전환) 시장을 공략한다. 회의와 보고 등 일상 업무를 효율화하는 '에이닷 비즈(A. Biz)', 법무·세무 등 전문 업무에 활용 가능한 '에이닷 비즈 프로(A. Biz Pro)' 등을 올해 안으로 SK 관계사에 도입할 방침이다.
B2C(기업-소비자 간 거래) 영역에서는 AI 서비스 '에이닷(A.)'이 900만 가입자를 확보하며 국내 대표 AI 서비스로 자리 잡고 있다는 설명이다. 유 대표는 "서비스 고도화와 파트너십 강화 등을 통해 사업성을 증명할 것"이라며 "베타 서비스를 출시한 글로벌형 AI 에이전트 '에스터(A*)'는 각국 통신사 및 현지 서비스 제공자들과 협력해 사용자 기반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유 대표는 한국어 특화 LLM인 '에이닷 엑스 4.0'에 대해 "글로벌 주요 LLM에 뒤지지 않는 성능을 갖추는 동시에 고효율까지 실현한 고성능 모델"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GTAA(글로벌 텔코 얼라이언스)와의 협력을 통해 LLM 개발을 포함해 AI 에이전트, AI 인프라 영역까지 글로벌 협업을 지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불확실성이 커지는 시대에 '실사구시'의 자세로 SK만의 고유한 경영철학인 SKMS(SK Management System)에 집중해야 한다"며 "더 치열하고, 단단하며, 유연한 SK텔레콤 고유의 문화와 일하는 방식을 정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AI 및 운영 효율화(O/I) 성과를 극대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