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178명 명퇴…협상 돌파구 찾나
금호타이어 178명 명퇴…협상 돌파구 찾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전보규 기자] 워크아웃이 진행 중인 금호타이어의 명예퇴직 신청자가 모두 178명으로 집계됐다. 이에, 구조조정을 둘러싼 노사협상이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19일 금호타이어에 따르면 지난 11일부터 기능직 사원 4천여명을 대상으로 명예퇴직 신청을 받은 결과, 광주공장 127명, 곡성공장 49명, 평택공장 2명 등 총 178명이 신청서를 제출했다.

회사 측은 명예퇴직 신청자가 정리해고 예정 인원인 371명에 못미쳐, 이들 모두를 명예퇴직 처리할 방침이다. 명예퇴직자에게는 근속연수와 정년 기간 등을 고려해 평균 임금 5~12개월분의 위로금이 지급된다.

금호타이어는 명퇴자 발생에 따라 인력 구조조정을 추가로 하지 않아도 된다는 판단하에, 이번 명예퇴직을 계기로 어떻게든 노사협상의 돌파구를 마련해보겠다는 게 사측의 입장이다.

금호타이어 노사 양측은 18일 제5차 본교섭에 이어 19일에도 구조조정을 놓고 실무협의를 벌였지만,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회사 측은 지난 11일 협상에서 기존에 제시했던 371명 정리해고와 1천6명의 외주 등 1천377명에 대한 인력 구조조정 방안을 철회하는 대신, 현재 800%인 상여금을 500%로 줄이는 안을 제시했지만, 노조 측은 경영위기의 책임을 노동자에게만 전가한다면서 이를 거부했다.

하지만, 이번 명예퇴직으로 비용 절감 요인이 발생함에 따라 노사 양측 모두 협상의 여지가 다소나마 넓어졌다며, 협상타결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진 것아니냐는 긍정적 전망이 흘러 나오고 있다.

한편, 채권단이 요구한 동의서 제출이 지연되면서 약 1천억원에 달하는 자금 지원을 받지 못함에 따라  지난 16일부터 트럭과 버스 타이어를 40% 감산하는 등 공장 가동에 부분적인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금호타이어 측은 현재의 상태로 공장이 가동된다면 남아있는 원재료로 오는 3월 중순께까지는 공장을 가동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그때까지 긴급자금 수혈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전면적인 가동 중단이 불가피할 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