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대지진, 한국 경제에 미칠 파장은?
日 대지진, 한국 경제에 미칠 파장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문선영기자] 일본 대지진으로 국내외 증시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일본 대지진 외에도 남유럽 재정 위기, 중국의 전인대 폐막 등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을 확대시킬 수 있는 변수들이 여전하다는 지적이다.

18일 일본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G7 재무장관회담이 개최될 예정이다. 세계 경제에 위협이 되고 있는 일본 대지진 사태를 수습하기 위한 것이다.

당분간 일본 대지진 여파가 이어질 전망이지만 일본 지진사태 수습 이후 상황에 대해서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그렇다면 일본 변수를 제외하고 현재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을 좌우할 수 있는 변수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우선 엔화 강세 흐름의 지속 여부를 살펴봐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최근 엔·달러 환율은 대지진의 여파에도 피해복구 자금 유입 기대감과 해외자산 매각 가능성 등이 맞물려 80엔을 하향 이탈하며 역사상 최저치를 기록하는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해외 자금 유입과 안전자산 선호현상 강화에 따른 엔 캐리 트레이드의 청산 등으
로 인해 엔화 강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향후 복구과정에서 대규모 양적완화정책 시행에 따른 통화량 증가와 유일한 성장동력인 수출 경쟁력 약화를 방어하기 위한 일본은행의 환시 개입 가능성 등을 감안한다면 장기적으로는 엔화 약세 흐름이 불가피해 보인다.

실제로 일본은행은 14일 이후 약 34조엔을 단기자금시장에 투입하며 금융시장 안정화에 주력하고 있다.

여기에 남유럽 재정위기 진행사항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열린 EU특별정상회담에서 유럽재정안정기금(EFSF)의 증액 및 기능 확대 등 재정위기 해결을 위한 주요 쟁점사항의 합의 도출에 성공했지만 오는 24~25일 열릴 EU 정상회담에서 최종 타결을 앞두고 열린 재무장관회의에서 구제금융기금 확충방안 합의에 실패하면서 유럽 재정이슈는 다시 수면 위로 부상했다.
 
여기에 무디스가 포르투갈의 신용등급을 두 단계 강등시키면서 유럽 재정이슈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임을 상기시켰다.

일본 대지진에 묻혔지만 중동발 정정 불안도 여전하다. 사우디 등 OPEC 내 주요국의 증산 계획과 더불어 일본의 지진 발생에 따른 수요 감소 전망으로 유가는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리비아·바레인·예멘 등 민주화 운동의 장기화는 글로벌 금융시장에 지속적인 변동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중국의 전인대(전국인민대표회의) 폐막 역시 증시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4일 폐막된 중국 전인대에서 중국은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을 공식화 했다.

올해부터 시작될 12차 5개년 계획의 경제성장 목표를 7%로 이전(8%) 대비 낮춰 잡은 것.

이에 따라 올해는 중국 통화긴축 기조에 대한 우려보다는 고용증가와 임금인상에 따른 내수소비 모멘텀과 서부 대개발 등인프라 구축 모멘텀이 재차 부각될 수 있을 것이란 전망이다.

삼성증권 김진영 연구원은 "앞으로 주식시장의 조정 폭과 기간은 결국 일본 대지진 이후 원전 사태가 어느 정도 선에서 마무리되느냐에 달려 있다"며 "원전과 지진 사태가 완료되기 전까지는 일본발 뉴스에 급등락을 반복하는 흐름이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연구원은 "그러나 일본 지진사태 수습 이후를 볼 필요가 있다"며 "성급한 매도 보다는 다시 살아나고 있는 중국모멘텀과 일본 경쟁업체들의 생산차질에 따른 상대적 수혜를 동시에 향유할 수 있는 기계·화학·철강업종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