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빈곤층 100만 가구…전체의 40%”
“은퇴 빈곤층 100만 가구…전체의 4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온라인팀] 우리나라 가난한 고령가구가 전체 고령은퇴가구의 40%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낸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금융조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은퇴빈곤층은 전체 고령은퇴가구의 38.4%에 달하는 101만 5천 가구인 것으로 추산됐다. '은퇴빈곤층'이란 은퇴 후 소득 인정액이 최소 생활비보다 적은 가구를 의미한다.

반면, 은퇴 후 소득 인정액이 적정 생활비보다 많은 은퇴부유층은 3.2%인 8만 4천 가구에 불과했다. 또, 단독가구 중 56.6%가 은퇴 빈곤층에 속했고, 부유층은 1.2%에 그쳤다.

은퇴빈곤층의 자산 대부분은 거주 관련 자산에 묶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은퇴빈곤층의 평균 자산 7천만 원 중 거주 주택과 전·월세 보증금이 76.7%를 차지해 처분 가능한 기타 자산이 거의 없었다.

은퇴부유층은 평균 자산 15억 7천만 원 가운데 거주 관련 자산이 47.5%였다. 주택을 소유하고도 빈곤층으로 분류되는 가구는 전체 은퇴빈곤층의 절반이 넘는 51.7%를 기록했다.

보고서 또 은퇴빈곤층은 금융자산이 매우 빈약하고 그중 개인적으로 준비한 노후자금, 즉 사적연금이 평균 61만 원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했다.

한편, 은퇴부유층의 사적연금은 2천200만 원으로 은퇴빈곤층보다 36배나 많았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