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저출산 해소, 은행권이 앞장서길
[기자수첩] 저출산 해소, 은행권이 앞장서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이종용기자] 국내 은행들은 지난해 전체 당기순익 10조원에 육박하는 사상최대 실적을 거뒀다. 하지만 이같은 실적에 걸맞지 않는 수치가 있다. 바로 주요 은행별로 한 곳뿐인 어린이집이다.

최근 국책은행들은 저출산 및 육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원 전용 어린이집을 속속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시중은행들이 운영하는 직원용 어린이집은 사실상 전무한 실정이다. 국민·우리·신한 등 대형은행들이 전국적으로 운영하는 어린이집 수도 은행별로 한 곳뿐이다.

어린이집은 기혼 직장인 가운데, 특히 아이를 양육하면서 직장생활을 하는 여성 행원들의 복지문제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은행 노사도 근로환경 개선을 위해 금융노조 임금단체협상안에 탁아소 증설 건을 포함시켰다. 하지만 은행연합회 차원에서 공동으로 운영해야 하기 때문에 은행간 이해관계 조율이 쉽지 않다.

현재 은행 노사 모두 어린이집 증설에 대한 필요성에는 공감하고 있다. 하지만 은행측은 수요파악이나 직원 형평성 등을 애로점으로 내세우고 있으며, 노조측 역시 어린이집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인식에서 한발짝도 나가지 못하는 분위기다.

물론 은행 입장에서는 전국 1000여개에 달하는 영업점 직원들을 대상으로 어린이집을 운영해야 한다는 점에서 감안해야할 요소가 많을 수밖에 없다. 거액을 들여 어린이집을 개원했는데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실제 한 시중은행은 과거 종로지점에 어린이집을 운영했지만 참여율이 저조해 어린이집을 이동시킨 바 있다. 이 은행 관계자는 "아이 부모들은 아무래도 거주지로부터 근거리에 있는 어린이집을 선호한다. 은행지점이 모인 지역에 설립한다고 되는 문제가 아니었다"고 전했다.

하지만 방법이 아예 없는 것도 아니다. 경쟁사인 하나은행의 경우 여러 회사와 공동협약을 통해 총 4곳의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다. 하나은행이 협약을 맺은 곳은 한국IBM, 건강보험심사평가원, POSCO, NHN 등이다. 이 곳들의 경우 직원들의 이용율도 높다.

대형 시중은행들이 저출산 문제를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 역시 은행권이 현실적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에 나서는 방안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