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프리워크아웃 추진
은행권, 프리워크아웃 추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이종용기자] 부실 위험이 큰 '잠재적 신용불량자'의 부채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은행권 프리워크아웃(사전채무조정)제도가 추진된다. 채무자의 상환 능력에 맞춰 대출 금리를 낮춰주고 원금은 오랜기간에 걸쳐 나눠갚게 하는 것이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시중은행 여신담당 부행장들과 회의를 열어 은행권 공동 프리워크아웃 도입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28일 밝혔다. 은행권 프리워크아웃은 1개월 미만 단기 연체가 반복되는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우선 적용될 방침이다.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하고는 있으나 신용등급 7등급 이하인 저신용자가 지난 3월 말 현재 660만명에 이른다. 이 가운데 250만명은 30% 이상의 고금리를 부담하고 있다.

최근 김석동 금융위원장이나 권혁세 금융감독원장 등이 잇따라 가계부채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데도 사안의 심각성이 반영됐다.

금감원은 국민은행이 운영하는 신용대출 장기분할상환 전환 프로그램을 모범 사례로 거론했다. 저신용 대출자를 대상으로 한 이 프로그램은 1만1000명의 빚 1100억 원을 10년 이상 장기 분할상환으로 전환했는데, 연체율이 3∼5% 수준이다.

프리워크아웃에는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로 담보가치가 추락한 주택담보대출자와 다중채무자 가운데 연체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 부실 위험군이 포함될 전망이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는 통계청 자료를 분석해 지난달 내놓은 보고서에서 대출자 가운데 부실 확률이 높은 `잠재적 위험군'을 30만7000가구로 추정했다.

은행들이 자체 프리워크아웃을 운영하면 신용회복위원회의 프리워크아웃(1∼3개월 연체자)과 개인워크아웃(3개월 이상 연체자)에 앞서 가계의 파산을 막는 완충장치가 추가된다.

금감원은 프리워크아웃을 통해 잠재적 부실 위험군의 채무를 미리 조정하면 충당금 적립 부담이 줄어드는 등 은행 건전성에도 보탬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