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고객정보도 유출…장관·CEO·연예인 대거 포함
시중은행 고객정보도 유출…장관·CEO·연예인 대거 포함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파이낸스 나민수기자] 외국계 은행과 카드사, 저축은행, 캐피탈사에 이어 시중은행에서도 고객 정보가 대규모로 유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번 카드사 고객 정보 유출 피해자 중에는 최수현 금융감독원장, 신제윤 금융위원장 등 사회 지도층 인사와 연예인까지 대거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경제활동을 하는 국민 모두가 정보를 털린 상황이다. 이에따라, 이번 정보 유출 사고와 관련한 '스미싱'(신종 문자결제사기) 등 2차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카드와 롯데카드, 농협카드에서 1억400만건의 고객 정보가 유출되는 과정에서 국민은행뿐만 아니라 다른 시중은행 고객 정보도 대량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확인됐다.

농협카드와 연계된 농협은행, 롯데카드의 결제은행까지 고객 정보가 유출됐다. 신한은행, 하나은행, 우리은행 등 사실상 국내 모든 은행의 고객 정보가 노출된 셈이다.

이에따라, 최소 수백만명에서 최대 1천여만명의 은행 고객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이들 카드사들은 17일 오후부터 정보 유출 본인 확인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빠져나간 유출 정보의 내역이 충격적이다. 10년 전에 카드를 해지했거나 카드를 만든 적도 없는데도 개인 정보가 유출됐다는 신고가 잇따르고 있다.

성명, 휴대전화 번호, 직장 전화 번호, 자택 전화 번호, 주민번호, 직장 주소, 자택주소, 직장정보, 주거상황, 이용실적 금액, 결제계좌, 결제일, 신용한도금액, 결혼 여부, 자가용 보유 유무, 신용등급 등 최대 19개에 달한다.

심지어 10년 전에 카드를 해지했거나 카드를 만든 적도 없는데도 개인 정보가 유출됐다는 신고가 잇따르고 있다.

정보 유출 피해자 명단에는 거의 모든 부처 장·차관, 기업 최고경영자, 연예인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권을 관리·감독하는 신제윤 위원장과 최수현 원장도 피해자 신세를 면치 못했다. 국민카드 사장 등 이번 정보 유출 관련 카드사 최고경영자들과 4대 금융 등 경영진의 개인 정보도 빠져나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번 대규모 정보 유출 사고를 악용한 스미싱 등 2차 피해 우려도 커지고 있다.

최근 고객 정보 유출 여부를 확인하라는 등의 카드사 사칭 문자메시지를 발송해 은행 계좌번호나 비밀번호 등의 금융 정보를 탈취하려는 사례가 적발됐기 때문이다.

스미싱이란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면 악성코드가 설치돼 피해자가 모르는 사이에 소액결제 피해 발생 또는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금융사기 수법이다.

국민카드는 긴급 공지를 통해 "각종 메시지를 통해 보안카드 번호, 계좌번호, 비밀번호 등의 중요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금융 사기에 각별히 주의해달라"면서 "의심되는 이메일 또는 문자메시지 발견 시 곧바로 신고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