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론' 불거지는 KAI···'마린온' 원형 '수리온' 안전성 논란 증폭
'책임론' 불거지는 KAI···'마린온' 원형 '수리온' 안전성 논란 증폭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방산업계 "당국 진상규명 전까지 기계결함 속단 일러"
해병대 마린온 사고 현장.(사진=연합뉴스)
해병대 마린온 사고 현장.(사진=연합뉴스)

[서울파이낸스 윤은식 기자] 대한민국 방위산업을 이끄는 한국항공우주(KAI)이 비판 여론에 휩싸였다. 최근 해병대 상륙 기동헬기 '마린온(MARINEON)' 추락사고가 발생해 해병대 장병 5명이 숨졌기 때문이다. 사고 원인이 기체결함으로 판명될 경우 KAI는 책임론에서 벗어날 수 없다. KAI는 마린온 헬기의 제작사다.

마린온은 KAI가 자체 제작한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을 개조해 만든 해병대 첫 상륙 기동헬기다. 마린온은 훈련과 최종 임무 수행능력 평가를 거쳐 해병대 1사단 항공대에 배치될 예정이었다.

해병대는 마린온 인수로 45년 만에 항공전력 보유를 눈앞에 두고 있었는데 이번 사고를 당했다. 인수한 지 6개월 만이다. 해병대는 오는 2023년까지 총 28대 마린온 헬기를 도입할 계획이었다.

함상 운용을 전제로 개발된 마린온은 수리온과 달리 상륙함 내부에 기체를 수납할 수 있도록 헬기의 회전날개 부분을 접었다 펼 수 있도록 개조됐다.

KAI가 지난 2006년 개발비 1조2950원을 투입해 2012년 개발 완료, 그해 12월 각급 부대에 배치한 수리온은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지난 2015년 초 육군항공학교에서 수리온 2대가 엔진과속 후 정지돼 비상착륙 했다. 지난해 5월에는 육군에 납품된 60여 대 가운데 8대 기체 뼈대에서 균열이 발전돼 모든 헬기 운항이 중단됐다.

지난해 7월 감사원 감사 결과 수리온은 전투용 헬기나 일반 헬기로서 비행 안전성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감사원은 수리온은 엔진과 기체, 탑재장비 등에 문제가 있고 기체 방수도 되지 않아 기체 내부에 빗물이 새는 것을 확인했다. 또 결빙성능과 낙뢰 보호 기능을 제대로 갖추지 못했고 엔진형식인증을 거치지 않아 비행안정성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KAI는 수리온의 성능 점검을 다시 시작했고 지난 6월 방위사업청 주관 '감항인증' 심의위원회를 통해 수리온의 체계 결빙 운용능력에 대한 '감항성'을 입증 받았다. 수리온이 전투용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의미다. 감항성은 항공기가 자체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능력을 말한다.

감항성 입증을 한 KAI는 수리온 파생헬기가 정부기관과 노후된 육군의 기동헬기를 대체할 것으로 기대했다.

실제로 KAI는 지난달 2018 국제 해양안전 대전에 참여해 해양경찰헬기, 경찰·산림·의무후송전용헬기와 소형민수헬기(LCH, Light Civil Helicopter) 파생형 등 수리온 파생헬기를 선보였다.

하지만 이번 사고로 수리온 헬기 안정성에 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반면 방산업계 안팎은 당국의 최종 진상규명이 나오기 전까지 이번 사고원인이 기체결함이라고 속단하기는 이르다고 경계한다.
 
KAI 또한 수리온 안정성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다만 사고가 기체결함으로 밝혀질 것으로 대비해 긴장에 끈을 놓지 않은 모습이다.

KAI는 사고 발생 직후 입장문을 통해 "사고원인 규명과 대책수립을 위해 군에 적극 협조할 계획"이라며 "사고 조사가 진행 중이므로 추측성 보도는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방산업계는 이번 사고가 국내 방위산업의 위축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면서도 국내 방위산업이 한 발 더 발전하는 계기로 작용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노하우가 축적되고 기술력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방위산업계 관계자는 "이번 사고로 희생된 순직 장병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한다"면서 "항공 방위산업은 단시일 내에 이룰 수 없는 기술집약적 산업인 만큼 국내 항공 방산 산업이 위축되지 않았으면 한다. 이번 사고를 교훈 삼아 국내 방위산업이 발전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