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유럽 혁신포럼 2018] "혁신 위해 규제완화·종합적 접근 필요" 한목소리
[한-유럽 혁신포럼 2018] "혁신 위해 규제완화·종합적 접근 필요" 한목소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한유럽상공회의소와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하고 서울파이낸스가 미디어 파트너로 참여한 '한-유럽 혁신포럼 2018'에서 모빌리티 주제로 1세션 패널토론이 열리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요하네스 숀 벤츠코리아 상무, 이승은 솔베이 연구소장, 알리 블룸버그 NEF 본부장, 유승학 중부대학교 교수, 손주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사진=서울파이낸스)
주한유럽상공회의소와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하고 서울파이낸스가 미디어 파트너로 참여한 '한-유럽 혁신포럼 2018'에서 모빌리티 주제로 1세션 패널토론이 열리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요하네스 숀 벤츠코리아 상무, 이승은 솔베이 연구소장, 알리 블룸버그 NEF 본부장, 유승학 중부대학교 교수, 손주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 (사진=서울파이낸스)

[서울파이낸스 박시형 기자] 주한유럽상공회의소와 대한상공회의소가 주최하고 미디어 파트너로 서울파이낸스가 참여해 13일 열린 ‘한-유럽 혁신포럼 2018’ 패널 토론에서는 혁신을 위해 ‘규제 완화’와 ‘종합적인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쏟아져 나왔다.

이날 모빌리티를 주제로 한 1세션 패널 토론(좌장 알리 이자디-나자파바디 블룸버그 NEF 본부장)에서 유승학 중부대학교 교수는 “전기차 등의 모빌리티 시장이 성숙하기 위해서는 기술 성숙도와 소비자 편의성, 대량 생산, 가격대비 성능 그리고 이중 규제 등이 5대 메가트렌드 선결조건”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같은 메가트렌드는 계속 전개되겠지만 정부가 스마트한 전략을 가지고 메가트렌드를 관리해 나가는 능력이 필요하다”며 “투자와 기술 성숙도 조화를 이뤄 일시적인 유행에 그치는 상황이 돼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손주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전기차 보급의 가장 큰 문제는 저속 부문에서 규제가 심하다는 점이다. 이를테면 바뀌 3개짜리 차의 경우 스피드, 헬멧 등 규제를 받는다”며 “소도시나 농촌 지역에서 저속 전기차가 유망 사업이 될 수 있고 (규제 완화시) 중소기업과 벤처, 스타트업이 이 시장에서 비즈니스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 트윈 주제의 2세션 패널토론(좌장 정상원 서울대 교수)에서 안창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규제가 때로는 누군가에게 이득이 되기도 한다”며 “사회시스템에 대한 디지털 트윈이 없으면 사회 갈등해결을 못하게 된다. 어떤 사회 시스템에 관해 전체를 적시에 볼 수 있는 능력을 위해 컴퓨팅 파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부는 서비스에 관심이 있어 상대적으로 데이터에 덜 관심을 기울였다”며 “시간이 걸리겠지만 어떤 금전 자산보다 데이터를 정제하는 것이 정부가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안 책임연구원은 디지털 트윈에 대해 “조직간 단절에서 오는 의사결정의 불균형을 바로 잡아줄 수 있는 것이 디지털 트윈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범봉성 지멘스 부장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션이 도입되고 있는 현재, 제조업만 하는 회사는 살아남을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지멘스의 경우만 하더라도 고객과 함께, 로컬 회사와도 협업이 중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장희 다쏘 전무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든 스마트 팩토리든 대부분 실무자들, 개인의 아젠다가 많다. 문제는 이들이 이러저러한 이유로 2~3년 만에 바뀌며 처음부터 (관련 일을) 다시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 온다”며 “매몰비용을 감안하면 혁신은 개인의 아젠다가 아니라 회사의 아젠다여야 한다”며 전체적인 접근, 즉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노력 만으로 성공하는 시대는 갔다. 한쪽으로는 디지털라이제이션이 될 수 있고 한쪽으로는 정부의 규제나 규정이 될 수 있다”며 “1등이 되려하기 보다 유일한 기업, 유일한 제품, 유일한 서비스, 유일한 가치를 제공하는 회사가 돼야 한다. 뭘 더하려고 하지 말고 나한테 불필요한 것, 뺄 게 뭔지 잘 생각해보면 좋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용완 SAP코리아 본부장은 디지털라이제이션의 데이터와 관련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제로 엄청난 데이터 양이 어디까지 허용되는지에 대한 계획을 미리 세우는 것”이라며 “즉 데이터베이스에 담을 데이터를 찾는 것이 제일 중요한데, 한국 제조 쪽 포함해 디지털라이제이션할 때 보통 당연히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부터 하지만, 문제는 구체적인 비즈니스나 과정 없이 일단 수집만 하는 경우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데이터를 모아도 어디에 써야 할 지, 언제 써야 할 지를 모르는 상태가 돼 버리고 그러다보니 데이터의 분류자체가 광범위해 지고, 나중엔 관리자체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한국은 같이 소통하고 회의하고 해결법을 찾는 커뮤니케이션 힘이 약해 보인다”며 “일본의 레볼루션, 중국 메이드인 2025 등 미래에 대한 로드맵, 구체적인 계획을 구상하는 등 적극적으로 협력해 나가고 있으나 한국은 사실 단위 회사별로 개인 기술로 접근하고 있어 일시적으로 효과를 볼 순 있지만 향후 미래에 대비하기엔 매우 무리”라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