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을 가로 막는 '6가지 편견'
'창의성'을 가로 막는 '6가지 편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발한 발상이 아닌 모호한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는 고단한 활동" 

[서울파이낸스 이양우 기자]현대인으로서 갖춰야할 최고의 덕목중 하나인 '창의성', 그러나 이 창의성에 대한 오해나 그릇된 상식도 많다고 한다. `튀는 인재, 젊고 개성 강한 괴짜들이 창의적이다', `창의성은 과도한 업무에서 벗어나 여유로운 환경에서 발현된다'. 거의 통념화되다시피한 이러한 이야기들이 실상 창의성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제기돼 눈길을 끈다.

LG경제연구원은 19일 `조직의 창의성을 가로막는 6가지 편견'이라는 보고서에서 "창의성을 높이려면 창의성의 본질적 속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며 이같은 잘못된 통념들을 정리했다.

보고서는 먼저 창의성은 타고난 지능보다는 목표를 향한 도전과 집념에 의해 더 크게 영향받는다고 지적했다. 지능지수는 일정 수준을 넘으면 더 이상 창의성에 영향을 주지 못하며, 그 이상은 노력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

보고서는 또 나이가 많으면 창의성이 떨어진다는 생각도 잘못된 생각이라고 지적했다. 젊을수록 관행에 얽매이지 않는 장점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창의적 사고에는 기본적으로 해당 분야의 전문성이 바탕이 돼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 때문에, 많은 경험과 지식을 쌓은 '일정 연령'에 이르렀을때 창의성이 더 잘 발휘된다고 보고서는 부연했다.

보고서는 단순히 시간적 여유를 많이 주는 것도 창의적 업무환경과는 거리가 있다는 주장을 폈다. 창의성은 그보다는 강한 목적 의식과 고도의 몰입이 있어야만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적절한 자극과 긴장으로 조직원의 몰입을 이끌어내는 것이 창의적 환경의 '요체'라고 조언했다.

특히, 눈에 띄는 대목은 금전적 보상과 같은 인센티브가 창의성을 높인다는 생각은 잘못이라는 것. 또, 창의성은 생산 부문보다는 연구 개발(R&D)이나 마케팅 등 특정 분야에 필요하다는 시각도 대표적인 오해로 지목됐다.

보고서는 "무엇보다 창의성을 어떤 기발한 아이디어를 내는 것으로 봐서는 안 된다"며,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거칠고 모호한 아이디어를 다듬고 구체화하는 고단한 활동이 창의성의 본질"이라고 강조했다.

 


이 시간 주요 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