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달에만 은행 점포 30곳 문 닫는다···당국 "사전 평가 강화"
이 달에만 은행 점포 30곳 문 닫는다···당국 "사전 평가 강화"

4대 은행, 지난해 20~63개 점포 축소···"비대면 속 불가피한 흐름"
당국, 사전영향평가 실효성 높이기로···"납득 가능한 기준 정립"
은행 영업점 (사진=서울파이낸스DB)
은행 영업점 (사진=서울파이낸스DB)

[서울파이낸스 이진희 기자]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주요 시중은행의 점포가 3000개 밑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달에도 4대 시중은행에서만 30곳이 추가로 문을 닫는다.

다만 은행권의 점포 폐쇄 바람엔 제동이 걸릴 전망이다. 은행들이 고령층 등 금융소외 계층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음에도, 금융 당국은 점포 폐쇄시 사전영향평가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의 국내 점포(지점+출장소) 수는 총 2886개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3079개) 대비 193개 줄어든 수치다. 은행들은 지난해 적게는 20개, 많게는 60개가 넘는 오프라인 지점을 줄였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신한은행의 국내 점포는 722개로, 2021년 대비 63개나 사라졌다. 국민은행의 경우 857개, 우리은행은 713개로, 전년과 견줘 각각 55개 줄었으며, 하나은행도 1년 새 20개 점포를 없애고 지난해 말 기준 594개를 운영 중이다.

이들 은행의 점포는 이달에도 신한은행 6개, 국민은행 24개 등 30개가 추가로 없어질 예정이다. 이처럼 은행권의 점포 폐쇄 바람이 여전히 거센 것은 최근 인터넷·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내점 고객이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고령층이 많은 지역을 제외하곤 오프라인 점포를 찾는 고객이 적다 보니, 은행 입장에선 건물 임대료와 인건비 등 운영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점포를 축소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은행의 비대면화가 피할 수 없는 흐름인 만큼, 은행권의 점포 폐쇄 속도는 더욱 가팔라질 전망이다.

대신 은행들은 타 은행과 공동점포를 개점하거나 무인으로 운영되는 디지털 특화점포, 주민들과 접점을 확대하기 위한 편의점 점포망 활용 특화점포 등 대안 마련에 속도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최근엔 점포 축소 흐름의 가장 큰 피해자로 꼽히는 고령층을 위한 방안도 눈에 띈다. 대표적인 게 고령자 모드를 탑재한 앱은 물론, 고령층 특화점포다. 실제로 우리은행은 지난달 말 고령층을 위한 효심 영업점 2호점인 '영등포 시니어플러스 영업점'을 개설했다. 

'시니어플러스 효심 영업점'은 고령층의 금융 접근성과 편의성 제고를 위해 우리은행이 신설한 시니어 특화점포다. 일반 영업점과 달리 안락한 대기 장소와 고령층 친화적인 ATM기가 배치됐고, 원금보장형 상품 위주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한다.

금융기능 제공 외에도 주변 어르신들의 모임 장소나 금융 교육 장소로 이용할 수 있는 '사랑채'를 운영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방은행인 DGB대구은행도 이날 상생금융 종합지원 계획과 함께 고령층 특화점포 운영 등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은행권 관계자는 "점포 축소, 특히 고령층 고객의 불편이 커지고 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지만, 내점 고객이 없다시피 한 지점을 유지하기엔 비효율적"이라며 "고령층 고객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특화점포를 늘려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만 은행권의 점포 축소 흐름에는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높다. 금융 당국이 영업환경 변화에 따른 점포 축소 흐름이 불가피한 점을 인정하면서도 점포 폐쇄를 마냥 지켜보지만은 않겠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현재 당국은 '은행권 경영·영업 관행·제도개선 TF'를 통해 점포폐쇄 절차 내실화 방안을 논의 중이다. 특히 점포 폐쇄가 소비자에게 미칠 영향 등을 먼저 파악하는 '사전 영향평가' 제도의 실효성을 높일 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현재도 '은행 점포 폐쇄 관련 공동절차'를 통해 사전 영향평가 보고 의무화 조치가 시행되고 있으나, 관련 법적인 규제가 없는 탓에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달 30일 우리은행 영등포 시니어플러스점 개설식에 참석해 "점포 폐쇄 관련 통제 수단이 사후 평가의 적정성을 살피는 형태로 설계돼 있는데, 최근 몇 년 동안 적절한 평가가 이뤄졌는지 솔직히 좀 의문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어 "최근 몇 년 치를 살펴보고 그 기준이 적정했는지에 대해 금감원이 점검하고, 은행권과 이를 공유해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기준이 정립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이 시간 주요 뉴스
저탄소/기후변화
전국/지역경제